*** Porter & Lawler의 업적만족이론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2 20:58본문
Download : Porter & Lawler의 업적만족이론.hwp
② 1930년대 이전 고전적 행정학 시기에는 행정권은 미약하고 국민의 대표기구로서 의회 등 * 정보비대칭(소비자와 기업) -> * 기업의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 -> *소비자
피해(계약실패, 시장실패) -> * 대리인의 손실방지 => * 대리인theory(이론) 대두 외부통제기관이 행政府(정부)를 충분하게 견제할 수 있었으므로 행定義(정의) 무책임행태나 권리남용의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를 도식하면 다음과 같다. 이런 경우 소비자는 상품에 대해 선호를 갖지 못하게 되고 결국 생산자 및 판매자도 판매부진으로 손실을 보게된다된다.설명
215322 , *** Porter & Lawler의 업적만족이론 ***법학행정레포트 ,
215322
Download : Porter & Lawler의 업적만족이론.hwp( 80 )
1) 의의 -조직analysis(분석) 에 경제학적 theory(이론)을 원용하는 것이며 조직의 경제theory(이론), 시장 및 위계theory(이론), 시장실패적 접근이며, 대리theory(이론)(agency theory)과 Williamson의 거래비용 경제학(transaction cost economics)이 key point(핵심) 을 이룬다. 그러나 행정권의 강화로 국민과 政府(정부)간의 권력과 정보의 비대칭이 뚜렷해지면서 政府(정부)관료의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 등 기회주의적 성향으로 인한 政府(정부)실패(대리인 권리남용 등 대리인손실)가 증대되기에 이르렀다(김 석태,1991:758-760).
③ 政府(정부)실패를 극복하고 고객주의행定義(정의) 실현하며 政府(정부)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국민과 政府(정부)간의 관계를 본인과 대리…(생략(省略))
순서
*** Porter & Lawler의 업적만족이론 ***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다.
2) 대리인theory(이론) - 본인·대리인 theory(이론)(principal·agent theory)
① 시장경제에서 소비자와 생산자 및 공급자의 관계에서 상품에 대해 비교적 완전한 정보를 생산자 및 판매자와 그러한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한 소비자간 정보불균형으로 인해 소비자의 피해 등 시장실패가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정한 비용을 부담(지불)하는 소비자(주인)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고 생산자 및 판매자인 기업이 대리인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경제적 효용을 지닌 재화(상품)을 제공함으로서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win-win 상태의 계약관계를 정립하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계약하자는 것이 대리인theory(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