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의 property(특성)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6 12:04본문
Download : 등장인물의 특성 분석.hwp
자세한 것은 나중에 하기로 하고) 묘사하는 語群(어군)을 만들어 내고 그 말들에다가 이름과 성별을 붙이고 각각 그럴듯한 몸짓을 배당하고 인용부호를 사용해서 말을 하게끔 하고 또 이러한 작업이 앞뒤가 서로 논리가 통하게끔 한다.등장인물발표 , 등장인물의 특성 분석감상서평레포트 ,
등장인물의 property(특성) 분석에 대한글입니다.
Download : 등장인물의 특성 분석.hwp( 86 )
순서
2) 학자들이 말하는 등장인물
- E.M. Forster의 견해: 작가가 자화상을 변형 내지 객관화한 끝에 얻어진 실체
“소설가는 다른 예술가들과는 달라 자기 자신을 대충(대충이다.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등장인물발표
등장인물의 property(특성) 분석
,감상서평,레포트
다. 이러한 魚群(어군)이 바로 작중인물이다.”
2. 등장인물의 유형론
1) 문학내적인 기준에 의한 유형
- 역할에 따라
주동(protagonist): 소설의 주인공. 중심적인 역할 담당. ex)춘향전의 춘향, 몽룡
반동(antagonist): 주인공과 투쟁하거나 대립관계에 있는 인물. 현대소설에서는 적극적으로 주동인물에 대항하여 투쟁하기보다는 의지의 대립을 보여주는 인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반동인물의 설정에서 중요한 것은, 주인공과 대립시키기 위해 작위적으로 그 인물을 주동인물과 반대되는 인물로 창조해서는 안 되고, 의지의 자연스러운 갈등이 필요함. ex) 변학도
조역(tritagonist): 조역 또는 단역. 주요인물을 도와주는 보조인물. ex…(생략(省略))
등장인물의 특성 분석에 대한글입니다.”
- R.V. Cassill의 견해: 소설에서 형상화된 인물은 실제의 인물이 아니고 언어에 의하여 창조된 인물
“①소설에 있어서 캐릭터는 작위적 구조이고, ②캐릭터는 소설의 기본적 요소인 언어나 묘사, 행동, 대화 또는 장면과 타인과의 상호 작용등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③허구적 인물은 실제 인물과 같은 의미로 살아 있지 않고 평행적 의미로 살아 있따 즉, 캐릭터는 끝이 없는 사실의 세계가 아니고 작가가 그를 위해 만들어 놓은 environment(환경) 속에서 사는 것이다.”
- William H. Gass의 견해: 소설의 모든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귀결되어 이루어진 것
“바로 작중인물은 소석 속의 모든 요소들이 근거를 두어야 하는 제 1차적인 실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