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12:47
본문
Download :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hwp
그래서 사이버 문학은 늘 잠정적이고 현재적인 관념으로만 존재하게 될지도 모른다. 통신 문학과 사이버 문학을 변별시키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사이버 문학을 범주화하고자 한 시도는 이용욱에서 비롯되었다. 김병익이 사용한 ‘사이버 문학’이라는 용어는 통신 공간 안에서 창작되는 SF나 판타지 소설을 지시하는 것으로써,‘통신 문학’이라는 거시 범주 안에 미시 장르의 관념으로 사용되었다. 1996년에 처음 사이버 문학이라는 용어가 문단에 비평적 용어로 등장했다.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설명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다.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누리망 소설’을 살펴보기에 앞서 그것을 포괄하는 ‘사이버 문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 누리망 상에서 창작되어졌으면서, 통신체, 이모티콘, 구어체, 독자와 계속 대화하는 화자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소설을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제는 문학 소통 공간의 가상성(사이버성)이 가져다줄 문학 체계의 질적 변화이다. ‘사이버 문학은 통신망에서 이루어지는 문학과 하이퍼텍스트의 속성을 이용한 문학으로 특징지어진다(최혜실).’,‘사이버 문학은 지면을 통하지 않고 통신을 통해 이어지는 전자게시판에 연재되는 이른바 사이버 공간의 문학을 말한다(황상훈).’, ‘사이버 문학은 정보화 사회라는 변화한 시대적 패러다임을 문학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우리의 의식적 실천 행위라고 할 수 있다(이용욱).’와 같이 사이버 문학에 대해 정의(定義)를 내리고 있지만, 아직도 사이버 문학은 관념의 내용 실체를 규정짓지 못하고 있따 그것은 사이버 문학이 그 범주를 규정지을 어떤 결절점을 가지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따 ‘사이버 공간’ 자체의 기술적 변환이 워낙 급하고, 이들이 우리 삶의 다른 국면들과 관계 맺는 상호성이 다양하고,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황효숙, 「한국 사이버 소설의 실태과 展望(전망) 」, 최병우 외, 『다매체문화와 사이버 소설』, 2002, pp.107~108.
그래서 사이버 공간의 Engineering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future(미래)학적 의미 작용이 빠르고 왕성할수록 ‘사이버 문학’의 관념은 여전히 진행형이며, 미요점항으로 남을 수 있따 박인기, 「사이버 문학과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봄호, 2001, p.13.
귀여니의「그놈은 멋있었다」는 사이버 상에서 창작되어졌다는 점에서 ‘사이버 문학’이면서 ‘누리망 소설’이라고 불려진다.
.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
Download : 문학개론 - 사이버 문학.hwp( 93 )
그러나 이것은 사이버 문학에 대한 우리의 인식태도를, 사이버 문학이 문학의 일련의 사조를 지칭하는 참조물을 갖고 있는 명사형이 아니라 특정한 공간 안에서 서서히 형성된 문학적 감수성이 보편성을 획득하면서 진행되어 가고 있는 문학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바꾸어 본다면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고 본다. 네티즌에게 ‘누리망 소설’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누리망 상에서 창작되어졌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사이버 문학’은 동사형이며, 통신 공간에서 ‘사이버 문학’이란 문학적 움직임이 자생적으로 발생한다는 것 자체가 ‘사이버 문학적’인 현상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변화는 사이버 테크놀로지의 첨단화로 인해 끝을 예측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