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3 22:17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hwp
學而不思, 則岡 ; 思而不學, 則殆 (爲政)
남이 나를 몰라 준다고 걱정말고, 내가 남모르는 것을 걱정하라.
설명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分析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分析 - 대학 리포트 제출data(자료)
말미암을(유), 가르칠(회)계집(녀) 알(지)갈(지)인가(호) 알(지)갈(지)할(위)알(지)갈(지), 아니(부)알(지)할(위)아니(부)알(지), 옳을(시)알(지)어조사(야). (할(위)정사(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넉(사)열(십)말이을(이)아니(불)미혹할(혹),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學而)
여섯(육)열(십)말이을(이)귀(이)순할(순),
나(오)열(십)있을(유)다섯(오)말이을(이)뜻(지)방패(간)배울(학),
아니(불)근심(환)사람(인)갈(지)아니(부)자기(기)알(지), 근심(환)아니(부)알(지)사람(인)어조사(야) (배울(학)말이을(이))
배울(학)말이을(이)아니(불)생각할(사), 곧(칙)산등성이(강) ; 생각할(사)말이을(이)아니(불)배울(학), 곧(칙)위태할(태) (할(위)정사(정))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分析(분석)
다섯(오)열(십)말이을(이)알(지)하늘(천)목숨(명),
Download :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hwp( 31 )
내가 열 다섯 살에는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흔 살에는 예에 섰고, 마흔 살에는 의혹하지 않았고, 쉰 살에는 하늘의 뜻을 알았고, 예순 살에는 순종함 뿐이었고, 일흔 살에는 마음의 하고 싶은대로 하여 도에 넘지 않았다.
논어 論語 분석
일곱(칠)열(십)말이을(이)좇을(종)마음(심)바(소)하고자할(욕), 아니(불)넘을(유)곱자(구).
순서
배우기만 하고서 생각지 않으면 미혹되고, 생각만 하고서 배우지 않으면 위태하다. 由, 誨女 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爲政)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5017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85%BC%EC%96%B4%20%E8%AB%96%E8%AA%9E%20%EB%B6%84%EC%84%9D-5017_01_.gif)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5017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85%BC%EC%96%B4%20%E8%AB%96%E8%AA%9E%20%EB%B6%84%EC%84%9D-5017_02_.gif)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5017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85%BC%EC%96%B4%20%E8%AB%96%E8%AA%9E%20%EB%B6%84%EC%84%9D-5017_03_.gif)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5017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85%BC%EC%96%B4%20%E8%AB%96%E8%AA%9E%20%EB%B6%84%EC%84%9D-5017_04_.gif)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5017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8/%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B%85%BC%EC%96%B4%20%E8%AB%96%E8%AA%9E%20%EB%B6%84%EC%84%9D-5017_05_.gif)
[동양철학론] 논어 論語 분석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吾十有五而志干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석(삼)열(십)말이을(이)설(립),
유여! 그대에게 안다는 것을 가르쳐줄까?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