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질 개선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5 16:17본문
Download : 대기질 개선 대책_2084245.hwp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우리나라 대기질 현황과 우리나라 대기질 악화의 원인 및 현행 대기환경관리체계의 문제점대기질개선대책 , 대기질 개선 대책자연과학레포트 ,






우리나라 대기질 상황과 우리나라 대기질 악화의 Cause 및 현행 대기環境관리체계의 drawback(걸점)
,자연과학,레포트
2. 우리나라 대기질 악화의 原因
①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배출원 증가
-세계 average(평균)의 43배에 달하는 고밀도 개발로 인해 배출원의 집중 및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저해 초래
② 자동차와 에너지 소비량의 급증
- 자동차수는 `80년 28만대 → 2000년 558만대로 20배 증가
- 2000년의 도로연장(1㎞)당 자동차 수는 수도권이 237대 로 미국(15대)의 16배, 전국 average(평균)(128대)의 약 2배
* 도로연장(1㎞)당 자동차 대수 : 영국 82대, Japan 62대, 프랑스 36대
- 1일 average(평균) 주행거리가 낮아지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
(`84년 77.2km ⇒ `93년 60.2km ⇒ `00년 42.3km)
- 우리나라 `00년 에너지사용 증가율(`80년 대비)이 328%로 선진국(미국 19%, 프랑스 30%, 독일 -3.6%)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
③ 단위면적당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과다
- 세계경제포럼의 2001년 environment지속성지수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NOx의 environment 부하는 142개 국가 중 129위로 세계
최하위 수준
3.현행 대기environment관리체계의 결점
① 광역 대기environment관리체계 미흡
대기오염은 지형 및 기상조건에 따라 광역적으로 이동·영향을 미치기때문에 자치단체별 배출량 저감만으로는 대기질 改善이 곤란하다.재개발사업 및 신도시 개발시 대기environment용량을 고려하여…(skip)
대기질개선대책
대기질 개선 대책
Download : 대기질 개선 대책_2084245.hwp( 96 )
순서
다.
- 지자체의 대기environment 改善의지 및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중앙政府에 의한 제재 또는 지원 등 관리수단 부재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도권을 대기environment규제지역으로 지정·관리하고 있으나, 3개 시·도가 실천계획을 각각 수립·추진하는 등 자치단체별 대책간의 연계 부족으로 실효성 저감
② 사전예방적 대기environment 관리 necessity
사후적인 농도규제에 의존하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증가를 억제할 수 없으며, 오염물질배출저감을 위한 기술개발·투자를 위한 유인 미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