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實驗(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5 13:34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hwp
오차의 요인으로 먼저 소자값을 말할 수 있다아 이론(理論)에 제시된 소자값은 L〓10mH, C〓10nF이었지만 우리가 실제로 사용한 소자의 측정(測定) 치는 이론(理論)값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이론(理論)상의 인덕터는 저항component이 없는 이상적인 것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사용한 인덕터에는 저항component이 존재하였다.
의 계산치는 96824.6Hz 이었으므로 오차〓 이다. 또, 계산상에서 발생한 오차도 있다아 우리가 구한 experiment(실험)치는 정확한…(skip)
[자연과학] 實驗(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순서
[자연과학],실험보고서,-,RLC,회로의,과도응답,및,정상상태응답,전기전자,실험결과
[자연과학] 實驗(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설명
Download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hwp( 22 )
다.
2. 실습내용 및 절차
2.1 그림 1과 같이 회로를 구성하라. 입력을 사각파(0 to 1V, 1㎑, duty cycle〓50%)로 하고 가변저항을 변화시켜서 저항(가변저항+10Ω)에 걸리는 전압이 저감쇠의 特性(특성)을 보이도록 하라. 이때의 를 측정(測定) 하여 기록하고 저항(가변저항+10Ω)을 측정(測定) 하여 기록하라. L의 저항component도 측정(測定) 하여 기록하라. 입력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R, L, C에 걸리는 전압을 스케치하라. experiment(실험)을 하면서 의 정확도를 확인하라. 의 계산치와 experiment(실험)치의 오차(%)는 얼마인가? 오차의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되는가? 저감쇠의 조건을 만족하는가?
[ experiment(실험)에 사용된 소자의 값 ]
R〓10Ω
L〓10.33mH (L의 저항component: 32.5Ω)
C〓10.99nF
저감쇠 特性(특성)을 보이는 저항 (가변저항+10Ω) 〓 0.653kΩ +10Ω 〓 663Ω
R, L, C의 전압 파형은 다음과 같다.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을 experiment(실험)을 통해 이해하였으며 Rcomponent이 없는 LC회로에서의 공진 주파수와 C의 전압의 관계를 확인하였다.[자연과학] 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전기전자실험결과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실험결과/전기전자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20%20RLC%20회로의%20과도응답%20및%20정상상태응답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20RLC%20%ED%9A%8C%EB%A1%9C%EC%9D%98%20%EA%B3%BC%EB%8F%84%EC%9D%91%EB%8B%B5%20%EB%B0%8F%20%EC%A0%95%EC%83%81%EC%83%81%ED%83%9C%EC%9D%91%EB%8B%B5_hwp_01.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20%20RLC%20회로의%20과도응답%20및%20정상상태응답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20RLC%20%ED%9A%8C%EB%A1%9C%EC%9D%98%20%EA%B3%BC%EB%8F%84%EC%9D%91%EB%8B%B5%20%EB%B0%8F%20%EC%A0%95%EC%83%81%EC%83%81%ED%83%9C%EC%9D%91%EB%8B%B5_hwp_02.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20%20RLC%20회로의%20과도응답%20및%20정상상태응답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20RLC%20%ED%9A%8C%EB%A1%9C%EC%9D%98%20%EA%B3%BC%EB%8F%84%EC%9D%91%EB%8B%B5%20%EB%B0%8F%20%EC%A0%95%EC%83%81%EC%83%81%ED%83%9C%EC%9D%91%EB%8B%B5_hwp_03.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20%20RLC%20회로의%20과도응답%20및%20정상상태응답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20RLC%20%ED%9A%8C%EB%A1%9C%EC%9D%98%20%EA%B3%BC%EB%8F%84%EC%9D%91%EB%8B%B5%20%EB%B0%8F%20%EC%A0%95%EC%83%81%EC%83%81%ED%83%9C%EC%9D%91%EB%8B%B5_hwp_04.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20%20RLC%20회로의%20과도응답%20및%20정상상태응답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20RLC%20%ED%9A%8C%EB%A1%9C%EC%9D%98%20%EA%B3%BC%EB%8F%84%EC%9D%91%EB%8B%B5%20%EB%B0%8F%20%EC%A0%95%EC%83%81%EC%83%81%ED%83%9C%EC%9D%91%EB%8B%B5_hwp_05.gif)
![[자연과학]%20실험보고서%20-%20%20RLC%20회로의%20과도응답%20및%20정상상태응답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20RLC%20%ED%9A%8C%EB%A1%9C%EC%9D%98%20%EA%B3%BC%EB%8F%84%EC%9D%91%EB%8B%B5%20%EB%B0%8F%20%EC%A0%95%EC%83%81%EC%83%81%ED%83%9C%EC%9D%91%EB%8B%B5_hwp_06.gif)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1. experiment(실험)요약
RLC 회로를 구성하여 저감쇠, 과감쇠, 임계감쇠 파형을 觀察하고 각각의 特性(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각 소자의 전압과 위상차를 측정(測定) 하였다.
[ R의 전압 파형] [ C의 전압 파형]
[ L의 전압 파형]
Hz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