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ttour.co.kr 관로마찰 實驗(실험) > tnttour7 | tnttour.co.kr report

관로마찰 實驗(실험) > tnttour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nttour7

관로마찰 實驗(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9 16:36

본문




Download : 관로마찰 실험_2050395.hwp




관의 직경이 d인 경우, Laminar flow의 Entry Length는 약 60d 근처이고 Turbulent Flow는 대략적으로 10d ~ 40d 사이 정도로 입구에서의 유동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러한 Boundary Layer의 성장은 벽 근처에서의 속도를 감소시키게 되고, 연속 방정식을 만족시키기 위해 관 중심에서의 유동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다음의 그림은 관 내 유동의 발달과정을 모사한 예다.


3) 실제 관내 유동의 특징

관내의 유동을 비압축성, 정상유동으로 가정하고, 관내의 중심에 위치한 Stream Line에 Bernoulli Equation을 적용하면 후류로 가면서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관내 유동이 Lamin…(drop)


관로마찰 實驗(실험)에 대한 지료 입니다.


설명




관로마찰 실험에 대한 지료 입니다.(그림 첨부)




순서

Download : 관로마찰 실험_2050395.hwp( 20 )


다.

2) Entry Length

입구에서부터 Fully developed flow이 발생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말한다.(그림 첨부)관로마찰_work1 , 관로마찰 실험공학기술레포트 ,

관로마찰 實驗(실험)


관로마찰%20실험_2050395_hwp_01.gif 관로마찰%20실험_2050395_hwp_02.gif 관로마찰%20실험_2050395_hwp_03.gif 관로마찰%20실험_2050395_hwp_04.gif 관로마찰%20실험_2050395_hwp_05.gif 관로마찰%20실험_2050395_hwp_06.gif

,공학기술,레포트

관로마찰_work1
레포트/공학기술
1. 관내 유동에 대한 theory(이론)적 고찰
1) Fully Developed Flow
2) Entry Length
3) 실제 관내 유동의 특징
4) 관내에서 발생하는 손실
5) 유량계와 토출계수

2. 관내 유동에서 마찰계수와 주손실 관계
1) 마찰계수
2) 주손실

3. 관이음(Pipe Fitting)에서의 부손실

4. 유량계의 토출계수

5. 관로마찰 test(실험) 장치
1) 장치 說明(설명)
2) 장치의 제원
3) test(실험) 과정

6. test(실험) 결과
1) 속도
2) 수두 손실
3) 마찰계수
4) K
5) Cd(토출계수)

7. 오차 분석 및 토의



1. 관내 유동에 대한 theory(이론)적 고찰

1) Fully Developed Flow

관내의 유동은 벽에서 점성에 의해 경계층이 발달되어 관의 중심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층이 관의 중심까지 성장하게 되면 이 후에는 관내의 유동의 속도 분포가 더 이상 alteration(변화) 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게 되는데 이를 Fully developed flow이라고 한다.
전체 18,19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nttou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