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21:40
본문
Download :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hwp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②음보율은 일률적으로 3음보이나, 4음보가 1회씩 끼여 있다.
Download :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hwp( 75 )
③구수율은 별반 제약이 없다.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⑤수
②음보율은 4음보(또는 2음보)가 지배적이다.
그 파괴된 모습을 보면
다.
.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①음수율은 주로 3음절과 4음절이다.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경기체가
순서
①음수율은 3,4,5음절로 되어 있으나 4음절이 우세하다.
.
1연이 3 3 4, 3 3 4, 4 4 4, 3 3 4, 4 4 4 4, 3 3 4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조선조의 ‘상대별곡’, ‘불우헌곡’, ‘화전별곡’ 등도 이에 속한다.
이제 이 (a),(b) 두 형에서 얻어지는 공통적인 형태상의 特性(특성)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이 형태는 다음에 드는 3종류로 세분하여 그 특수성을 살필 수 있을 것이며, 그 상호간의 차이를 들면, 아래와 같은 特性(특성)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조에 들어와서 제작된 ‘화산별곡’, ‘오륜가’, ‘연형제곡’ 등도 이에 속한다.
속요와 경기체가는 형태적인 면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③구수율은 일률적으로 6구체이다.
⑤5내지 8연이 중첩되어, 한 가요를 형성한다.
(b)변격형 (죽계별곡)
.
이와 같은 경기체가는 처음에는 아주 엄격한 정형시로서 출발하였다가 차차 후세로 옮아오면서 그 전형성을 상실하여, 나중에는 그 형태가 완전히 붕괴되면서 새로운 가형 즉 악장이나 가사로 접근하여 가는 자취를 보이고 있다.
(c) 파격형 〔성덕가,축성수,도동곡,육현가,엄연가,태평곡,독락팔곡〕
시가 작품 지도론 -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a)기본형 (한림별곡,관동별곡)





기본형에서 조금 벗어나, 일부 음절수의 alteration(변화) 를 보여주고 있다.설명
④1연은 전절과 후절로 구분된다.
④전후절의 구분이 없어지고, 기준형의 후절이 독립 분화된 듯한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