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wenty-first century 트랜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8 17:06
본문
Download : 21세기 트랜드.hwp
역사는 더 이상 가장 투명...
공동체 + 생명주의
Download : 21세기 트랜드.hwp( 38 )
레포트/인문사회






공동체 + 생명주의
세상이 온통 불투명하다. 어떤 고상한 도덕도 인류를 구원하지 못할 것임을 명심하라, 이성능력과 휴머니즘을 포기하라’ 등등.
20세기 문명에 대한 이런 우울한 반(反)휴머니즘 선언에도 우리는 무엇을 희망할수 있을까, 그 해답으로 ‘공생체의 언덕에 올라 보라’고 말하고 싶다. 그런 만큼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 사이의 무모한 대결을 넘어서는 생명중심의 자주관리 사회다.
공생체는 ‘이성’을 홀대하지 않는다. 공생체 이념은 이성을 협동과 감정이…(투비컨티뉴드 )
the twenty-first century 트랜드
순서
공동체 + 생명주의세상이 온통 불투명하다. 거기서 인권은 생명권으로, 윤리는 생태도덕이 된다된다. 이젠 어떤 이념도, 종교도 철학사상도 우리의 불안을 위안하지 못한다.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세상이 온통 불투명하다. 그 곳으로 가는 사람들은 ‘근대적 이성의 지팡이’를 짚고, 인간과 모든 생명에 대한 지독한 긍定義(정이) 눈빛을 가져야 한다. 역사는 더 이상 가장 투명... , 21세기 트랜드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젠 어떤 이념도, 종교도 철학사상도 우리의 불안을 위안하지 못한다. 인간은 가장 혐오스러운 동물이며, 이성은 이기적인 유전자의 장난이다. 이젠 어떤 이념도, 종교도 철학사상도 우리의 불안을 위안하지 못한다.
휴머니즘의 종말
그래서 현대의 선지자들은 엄숙한 목소리로 ‘휴머니즘의 종말’을 선포한다. 역싸는 더 이상 가장 투명한 인간의 논리가 아니다.
공생체란 공동체와 생명주의를 결합한 용어로 생명중심적 연대와 결속의 공동체 이념이다. 공생체는 공적 세계와 생활 세계가 하나로 통합된 사회다. 예컨대 ‘과학·기술·자본의 진보를 믿지 말라. 도덕은 인간을 자연과 결합시켜주기보다 자신을 파괴하는 악마적인 힘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