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0 22:35
본문
Download : 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pptx
순서
Download : 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pptx( 54 )
_SLIDE_1_
제 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
_SLIDE_2_
1-1. 노태우 政府
1. 제 6공화국
1-2. 김영삼 政府
1-3. 김대중 政府
2.1992년 MBC 파업
2-1. 파업 배경
2-2. 파업 과정 및 흐름
2-3. 그 결과
3. 과거와 현재
3-1. 1992 vs 2012
3-2. MBC 파업의 상징 ‘손석희’
3-3. 정리(整理)
CONTENTS
_SLIDE_3_
1. 제 6공화국
_SLIDE_4_
1.제 6공화국-노태우 政府
1)노태우 政府(1988~1993년)
6.29선언문 발표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채택
언론의 자율성 보장 조항 有
정기간행물 등록에 관한 법령 제정
지역지, 여성지, 시사지 등 다양한 잡지 창간
판매, 증면, 신기술도입, 광고주확보 경쟁 치열
_SLIDE_5_
1.제 6공화국-노태우 政府
[한겨례신문 창간]
동아일보 조선일보 해직기사중심
세계 유일의 국민주 신문
편집위원장 직선제
최소 이익 추구, 공익성이 생명
진실보도, 청탁배격, 참언론
[언론노동운동 본격화]
87년 한국일보사 노동조합 설립
88년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부산일보 노동조합(최초의 언론노조파업)
2)노태우 정권의 신문
외형상 언론의 자유를 보장했지만 언론계는 반공 중심으로 한 분단이데올로기의
틀을 벗지 못하고 정권을 대변하는 재생산 기능을 여전히 수행
_SLIDE_6_
1.제 6공화국-노태우 政府
3)노태우 정권의 방송
`방송사에 대한 통제방식 change(변화)
KBS 사장 인사권 : 政府 → 이사회
MBC 사장 인사권 : 정수장학회 → 재단 이사회
`민영방송 허용, 政府의 방송행정주도 배제, 방송광고공사 폐지
`방송 민주화를 주도하는 프로듀서들의 도덕성을 문제 삼는 압박 정책
`방송사 분할을 통해 노조의 역할을 약화시킴
방송위원회, 이사회, 기업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고도의 strategy 구사
_SLIDE_7_
1.제 6공화국…(To be continued )
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 , 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경영경제레포트 , 제공화국에서 언론 정체성
설명
제공화국에서,언론,정체성,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






제6공화국에서의 언론의 정체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