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서법 : 한글 맞춤법]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맞춤법 오류 instance(사례)와 pl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3 14:18본문
Download : [국어정서법 한글 맞춤법]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맞춤법 오류 사례와 방안.hwp
순서
Ⅰ. 서론
Ⅱ. 본론
1. 누리망 홈페이지 대문에 나타난 오류
2. 신문에 나타난 오류
3. 방송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오류
4. 영화자막에 나타난 오류
5. 법률에 나타난 오류
6. 틀리기 쉬운 맞춤법
7. 누리망 신문 기사에 나타난 오류
Ⅲ. conclusion
1. 누리망 홈페이지 대문에 나타난 오류
1. 1. 다음카페
-`왠`과 `웬`, `데`와 `대`의 차이점
1.1.1. 웬, 웬일
예문 5) `이게 웬 떡이냐?` (O)
예문 6) `이게 왠 떡이냐?` (X)
예문 7) `아니 웬 사람이 저렇게 많아?` (O)
예문 8) `아니 왠 사람이 저렇게 많아?` (X)
`웬`은 `어떠한`, `어찌 된`이라는 뜻이다. `왠`은 영어의 `Why`로 `웬`은 `What`으로 해석하면 되겠다.
1.1.2. `데`와 `대`
예문 11) `장금이가 참 예쁘데.`
예문 12) `장금이가 참 예쁘대.`
예문 11과 12는 어떤 게 맞는 표현일까?
예문 11, 12는 모두 맞…(drop)
다. 맞춤법끝[1] , [국어정서법 : 한글 맞춤법]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맞춤법 오류 사례와 방안인문사회레포트 ,
맞춤법끝[1]
![[국어정서법%20한글%20맞춤법]%20실생활에서%20틀리기%20쉬운%20다양한%20맞춤법%20오류%20사례와%20방안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EC%A0%95%EC%84%9C%EB%B2%95%20%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5D%20%EC%8B%A4%EC%83%9D%ED%99%9C%EC%97%90%EC%84%9C%20%ED%8B%80%EB%A6%AC%EA%B8%B0%20%EC%89%AC%EC%9A%B4%20%EB%8B%A4%EC%96%91%ED%95%9C%20%EB%A7%9E%EC%B6%A4%EB%B2%95%20%EC%98%A4%EB%A5%98%20%EC%82%AC%EB%A1%80%EC%99%80%20%EB%B0%A9%EC%95%88_hwp_01.gif)
![[국어정서법%20한글%20맞춤법]%20실생활에서%20틀리기%20쉬운%20다양한%20맞춤법%20오류%20사례와%20방안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EC%A0%95%EC%84%9C%EB%B2%95%20%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5D%20%EC%8B%A4%EC%83%9D%ED%99%9C%EC%97%90%EC%84%9C%20%ED%8B%80%EB%A6%AC%EA%B8%B0%20%EC%89%AC%EC%9A%B4%20%EB%8B%A4%EC%96%91%ED%95%9C%20%EB%A7%9E%EC%B6%A4%EB%B2%95%20%EC%98%A4%EB%A5%98%20%EC%82%AC%EB%A1%80%EC%99%80%20%EB%B0%A9%EC%95%88_hwp_02.gif)
![[국어정서법%20한글%20맞춤법]%20실생활에서%20틀리기%20쉬운%20다양한%20맞춤법%20오류%20사례와%20방안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EC%A0%95%EC%84%9C%EB%B2%95%20%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5D%20%EC%8B%A4%EC%83%9D%ED%99%9C%EC%97%90%EC%84%9C%20%ED%8B%80%EB%A6%AC%EA%B8%B0%20%EC%89%AC%EC%9A%B4%20%EB%8B%A4%EC%96%91%ED%95%9C%20%EB%A7%9E%EC%B6%A4%EB%B2%95%20%EC%98%A4%EB%A5%98%20%EC%82%AC%EB%A1%80%EC%99%80%20%EB%B0%A9%EC%95%88_hwp_03.gif)
![[국어정서법%20한글%20맞춤법]%20실생활에서%20틀리기%20쉬운%20다양한%20맞춤법%20오류%20사례와%20방안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EC%A0%95%EC%84%9C%EB%B2%95%20%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5D%20%EC%8B%A4%EC%83%9D%ED%99%9C%EC%97%90%EC%84%9C%20%ED%8B%80%EB%A6%AC%EA%B8%B0%20%EC%89%AC%EC%9A%B4%20%EB%8B%A4%EC%96%91%ED%95%9C%20%EB%A7%9E%EC%B6%A4%EB%B2%95%20%EC%98%A4%EB%A5%98%20%EC%82%AC%EB%A1%80%EC%99%80%20%EB%B0%A9%EC%95%88_hwp_04.gif)
![[국어정서법%20한글%20맞춤법]%20실생활에서%20틀리기%20쉬운%20다양한%20맞춤법%20오류%20사례와%20방안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EC%A0%95%EC%84%9C%EB%B2%95%20%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5D%20%EC%8B%A4%EC%83%9D%ED%99%9C%EC%97%90%EC%84%9C%20%ED%8B%80%EB%A6%AC%EA%B8%B0%20%EC%89%AC%EC%9A%B4%20%EB%8B%A4%EC%96%91%ED%95%9C%20%EB%A7%9E%EC%B6%A4%EB%B2%95%20%EC%98%A4%EB%A5%98%20%EC%82%AC%EB%A1%80%EC%99%80%20%EB%B0%A9%EC%95%88_hwp_05.gif)
![[국어정서법%20한글%20맞춤법]%20실생활에서%20틀리기%20쉬운%20다양한%20맞춤법%20오류%20사례와%20방안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EC%A0%95%EC%84%9C%EB%B2%95%20%ED%95%9C%EA%B8%80%20%EB%A7%9E%EC%B6%A4%EB%B2%95%5D%20%EC%8B%A4%EC%83%9D%ED%99%9C%EC%97%90%EC%84%9C%20%ED%8B%80%EB%A6%AC%EA%B8%B0%20%EC%89%AC%EC%9A%B4%20%EB%8B%A4%EC%96%91%ED%95%9C%20%EB%A7%9E%EC%B6%A4%EB%B2%95%20%EC%98%A4%EB%A5%98%20%EC%82%AC%EB%A1%80%EC%99%80%20%EB%B0%A9%EC%95%88_hwp_06.gif)
Download : [국어정서법 한글 맞춤법]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맞춤법 오류 사례와 방안.hwp( 29 )
인터넷(Internet)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신문, 방송, 영화, 법률과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instance(사례)를 통해 맞춤법 오류를 살펴보고 그 plan에 대해 정리(整理) 한 `한글 맞춤법` 리포트입니다. 그리고 `웬`은 항상 띄어쓰기를 해야한다.
예문 10) `네가 웬일로 빨리 가냐?`
왠과 웬의 발음이 비슷하여 가끔 혼동하기 쉬우나 뜻은 완전히 다르니 예문을 보고 이해하면 다시는 틀리지 않고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국어정서법 : 한글 맞춤법]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맞춤법 오류 instance(사례)와 plan
설명
인터넷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신문, 방송, 영화, 법률과 실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다양한 사례를 통해 맞춤법 오류를 살펴보고 그 방안에 대해 정리한 `한글 맞춤법` 레포트입니다. 여기에 예외가 있는데 `웬일`은 붙여쓰기를 한다. 그래서 `웬`대신 `어떠한`, `어떤` 등을 넣으면 대부분 말이 된다된다.
국어사전에 `웬`을 붙여 쓴 단어가 몇 개 있따 참고: Daum 국어사전
예문 9)그녀는 웬일인지 점심나절 때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