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ttour.co.kr 난설헌집 > tnttour5 | tnttour.co.kr report

난설헌집 > tnttour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nttour5

난설헌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4 01:13

본문




Download : 난설헌집_1215.hwp




하나는 목판본으로, 萬曆年間에 許均이 편찬한 파격적인 再鑄甲寅字로, 宣祖 39년(1606) 初刊한 鑄字本이... , 난설헌집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난설헌집_1215_hwp_01.gif 난설헌집_1215_hwp_02.gif 난설헌집_1215_hwp_03.gif 난설헌집_1215_hwp_04.gif
설명

순서
다. 동국대 및 연세대, 이화여대 도서관 소장본도 모두 이 목판본으로 한결같이 `崇禎後壬申東萊府重刊`의 刊記가 붙은 중간본이다. 지금 流傳하는 목판본은 東萊府 重刊本으로 肅宗 18년(1692) 再刻本이다. 이밖에 新活字版으로 1913년에 安往居가 편찬한 것이 있따 기타 국회도서관에 있는 <蘭雪軒詩集>은 숙종 18년의 序跋이 붙은 동래부 중간의 목판본이다. 여기에서 잠깐 지적할 사항은 상계한 바와 같이 `崇禎後壬申`의 간기를 誤讀하여 거의 仁祖 10년(1632) 壬申으로 착각하여 모든 論者들이 `崇禎壬申`으로 밝히고 있는 착각이다. 또다른 하나는 轉寫한 필사본으로 年紀 및 필사자는 미상이다. 따라서 鑄字本과 목판 초간본의 격차가 불과 2년밖에 안 됨은 鑄字本의 印行部數가 불과 백여편 정도이기 때문으로 짐작된다된다. 한편 重刊本 <蘭雪軒集>의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난설헌집_1215.hwp( 50 )


<蘭雪軒集>은 3종이 현전하고 있다아 하나는 목판본으로, 萬曆年間에 許均이 편찬한 파격적인 再鑄甲寅字로, 宣祖 39년(1606) 初刊한 鑄字本이...
난설헌집




레포트/기타

<蘭雪軒集>은 3종이 현전하고 있다. <蘭雪軒集>은 3종이 현전하고 있따 하나는 목판본으로, 萬曆年間에 許均이 편찬한 파격적인 再鑄甲寅字로, 宣祖 39년(1606) 初刊한 鑄字本이 내외를 뒤흔든 聲名으로 말미암아 이내 희귀해지자 다시 선조 41년(1608) 明使인 朱之蕃의 <小引>과 副史 梁有年의 <題辭>, 그리고 동생 허균의 <跋>을 자필대로 옮긴 初版인 목판 초간본이 있었으나, 모두 현전하고 있지는 않다.
전체 18,06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nttou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