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3:09본문
Download :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hwp
드라마의 이해와 작법, 곽노흥, 한누리미디어, 1999년 4월, 제3장 드라마의 본질 p.25 참고.
Download :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hwp( 90 )





방송 매체에서 쏟아지는 이미지와 언어는 시청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된다된다.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순서
설명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드라마란 희랍어 Dran에서 나온 말로 움직인다 혹은 행동한다란 의미를 지닌다.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는 지금까지도 가장 중요한 극작술 theory(이론)서로 인정받고 있는 저술인 <시학> 제6장에서 드라마의 6요소를 말하고 있다아 이 6요소는 당대 비극에 적용한 것이었지만, 그 마지막 요소만을 필수적이 아닌 가능한 요소로 파악한다면 일반적인 드라마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아 그가 비극이 갖추어야 할 요소로 칭한 것들은 미토스(Mythos: 행동), 에테(ethe, 단수형태는 ethos: 성격), 렉시스(lexis:말, 대사), 디아노이아(diάnoia: 사상, 의도), 오프시스(opsis: 무대, 공연) 그리고 멜로포이아(melopoia: 음악, 노래)이다.
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TV드라마의 대본을 살펴본 결과 표준어법에 맞지 않거나 방송 언어에 적합하지 않은 예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연극은 극작가와 연출가, 배우들의 맡은 바 노력과 연기로 관객에게 보여지는 것이다.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에서 보다 많은 제약이 따른다. 방송작가는 소설같은 인쇄매체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독자층을 구성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드라마가 방송되고 있는 동안은 장안의 화제를 끌어 모을 수 있으나 오래도록 사람들의 기억에 남기기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그러면 지금부터 TV드라마에서 잘못 사용된 표현들을 찾아 고쳐 보도록 하겠다. 드라마는 희곡을 토대로 무대 위에서 공연됨으로써 관객의 감각에 부딪쳐 온다. 현실을 모방한 가상의 이야기들은 보는 사람이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이성적이며 비판적인 판단을 거치기 전에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된다. 그것이 곧 관객인 것이다. 최후로 건물이 완성되면 사람들은 그 건물을 구경하게 된다된다. 예문은 주로 얼마 전 종영된 MBC드라마 눈사람의 대본에서 발췌하였다. 이런 과정은 시각적인 요소인 이미지 뿐만이 아니라 청각 요소인 언어를 포함한다. 드라마 分析론(Einführung in die Dramenanalyse), Bernhard Asmuth, 송전 옮김, 서문당, 2000년 9월, 제1장 드라마의 본질 p.17 참고.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
방송원고는 표현의 자유를 구가하는 문학원고와는 달리 언제까지나 공익성과 공공성을 기본으로 하는 방송을 위한 글쓰기인 만큼 방송에 적합한 언어와 소재, 감각을 필수조건으로 한다는 점 방송드라마 창작 실기론, 김성희, 연극과 인간, 2001년 3월, p.18 참고.
.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드라마는 매체상으로 분류했을 때의 TV방송극을 말한다. 드라마의 영역 속에는 연극과 희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어원대로 움직이거나 동작을 활용한 예술로 여겨지고 있다아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드라마란 극의 형식을 빌린 모든 공연 또는 영상예술을 뜻하고 있다아 오페라, 뮤지컬, 영화, 방송드라마, 연극, 꽁트 등의 예술이 드라마의 영역에 속해 있다고 볼 수 있다아
드라마에 나타난 잘못된 언어사용의 예
이러한 요소들 가운데 드라마를 완성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은 렉시스, 즉 극작가의 희곡창작이라 할 수 있다아 희곡을 어느 건축물의 설계도면에 비유한다면 연출은 그 건축공사의 감독이며 배우들은 각기 분야의 자료(資料)이거나 숙련공일 것이다. 또는 빠르게 진행되는 촬영 일정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한 채 글을 쓰기도 한다. 미토스, 에테 및 디아노이아는 묘사 내용과 관계된 것들이며 나머지 세 요소는 묘사 방법(무대 공연)과 수단(말, 노래)에 관련된 것들이다. 따라서 그들은 시청률을 의식하여 우리의 말초 신경을 자극하는 언어를 골라 쓰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