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리강령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04 06:18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hwp
만약 정보가 제공될 시에는 동의를 얻어야 한다. Japan의 경우 1986년에 만들어지고, 개정되지 않은 윤리강령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현대 사회를 반영하는 현상들을 빼 놓고 있다. Japan의 윤리강령에 비해 한국의 윤리강령은 ‘문서, 사진, 컴퓨터 파일 등의 형태로 된 클라이언트의 정보’에 상대하여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가치와 윤리원칙의 기초로 인간의 존엄성을 규정하고 있다아
※ 한국·미국 및 일본의 윤리강령 구성 비교 한국; 6장 46개 조항, 미국; 6장 155개 조항, 일본; 4장 14개 조항 구성되어 있다.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hwp( 33 )
사회복지실천론,한국·미국·일본 윤리강령의 비교
한국; 6장 46개 조항, 미국; 6장 155개 조항, 일본; 4장 14개 조항 구성되어 있다아 한국은 독특하게 사회복지사 선서를, 미국은 윤리강령의 목적을 삽입하였고, 일본과 미국의 윤리강령에 포함되어 있는 윤리원칙이 한국의 윤리강령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한국·미국 및 일본의 윤리강령 구성 비교
비밀보장은 클라이언트가 전문적 관계에서 노출한 비밀스런 정보를 사회복지사가 전문적 치료 목적 외에 타인에게 알려서는 안된다는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또한, Japan의 윤리 강령에선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는 정보가 공개 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본인이 식별 될 수 있는 방법을 피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명명하고 있지만, Japan의 윤리강령에서는 ‘가능하면 본인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이는 또한 사회복지실천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되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비밀보장은 상당히 중요한 전문적 관계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것들을 볼 때에 사회복지사들의 윤리강령 역시 시대가 변화면서, 그 시대의 특정과 文化를 담고,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선택적 요소를 두어 강력히 실천되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은 독특하게 사회복지사 선서를, 미국은 윤리강령의 목적을 삽입하였고, 일본과 미국의 윤리강령에 포함되어 있는 윤리원칙이 한국의 윤리강령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가지 의문스러운 것은 한국 윤리강령에서는 정보공개 시에는 ‘동의를 얻어야 한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가치와 윤리원칙의 기초로 인간의 존엄성을 규정하고 있다.
⇒ 한국과 Japan의 비밀 보장에 대한 윤리강령을 살펴보면, 한국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이라는 윤리기준에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라는 부분에서 비밀보장을 볼 수 있지만, Japan의 경우 한국의 윤리강령보다 간략히 되어 있어, ‘클라이언트의 관계’ 중에서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을 설명하고 있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자인에 관한 정보가 타인에게 알려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클라이언트는 아마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비밀, 개인적 관심, 비사회적인 사회와 행동 등에 대해 절대로 이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다. 1)한국과 Japan - 비밀보장
②한국과 Japan 윤리강령에 나타나는 비밀보장
①비밀보장이란?
순서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2653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5%9C%EA%B5%AD%C2%B7%EB%AF%B8%EA%B5%AD%C2%B7%EC%9D%BC%EB%B3%B8%20%EC%9C%A4-2653_01_.jpg)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2653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5%9C%EA%B5%AD%C2%B7%EB%AF%B8%EA%B5%AD%C2%B7%EC%9D%BC%EB%B3%B8%20%EC%9C%A4-2653_02_.jpg)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2653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5%9C%EA%B5%AD%C2%B7%EB%AF%B8%EA%B5%AD%C2%B7%EC%9D%BC%EB%B3%B8%20%EC%9C%A4-2653_03_.jpg)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2653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5%9C%EA%B5%AD%C2%B7%EB%AF%B8%EA%B5%AD%C2%B7%EC%9D%BC%EB%B3%B8%20%EC%9C%A4-2653_04_.jpg)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2653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5%9C%EA%B5%AD%C2%B7%EB%AF%B8%EA%B5%AD%C2%B7%EC%9D%BC%EB%B3%B8%20%EC%9C%A4-2653_05_.jpg)
하지만 두 나라의 차이점도 나타난다.
설명
[사회복지실천론] 한국·미국·일본 윤리강령의 비교
그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올 보호해야 한다고 말하고, 업무수행과정에서 얻은 정보는 철저히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