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3 12:27본문
Download : 고대가요에 대해서.hwp
또 말하되 천황이 나에게 명하기를 이곳에 와서 나라를 새롭게 하여 임금이 되라하였으므로 이 곳에 일부러 내려왔으니 너희들은 마땅히 봉상에서 흙을 파면서 노래하되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라. 내밀지 않으면 구어 먹으리라.‘
하고 …(skip)
,기타,레포트
고대가요관련
다. 또 가로되, 여기가 어딘가. 대답하되, 구지라 하였다. (그때의 생활상태는 단순하여)산야에 도읍하여 우물을 파 마시고 밭을 갈아 먹더니 후한 세조광무제건무십팔년임인삼월 계욕일에 북쪽 구지(이것은 산봉의 이름이니 십붕이 엎드린 형상과 같으므로 구지라 한 것이다.
설명
Download : 고대가요에 대해서.hwp( 87 )
고대가요에 대상으로하여
고대가요의 대표작품인 구지가, 열하일기, 공무도하가 등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고대가요관련자료 , 고대가요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구지가
@배경설화 원문(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조 이병도 역)
개벽지후, 차지미유방국지호. 역무군신지칭. 월유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등구간자, 시추장, 영총백성, 범일백호, 칠만오천인. 다이자도산야. 착정이음. 경전이식. 속후한세조광무제건무십팔년임인삼월계욕지일. 소거북구지(시봉만지칭.약십붕지상. 고운야.)유수당성기, 호환중서, 이삼백인집회어차. 유여인음. 은기형, 이발기음왈. 차유인부. 구간등운. 오도재. 우왈. 오소재위하. 대운, 구지야. 우왈. 황천소이명아자. 어시처. 유신가방. 위군후. 위자고강의. 이등수굴봉정촬토. 가지운. 구하구하. 수기현야. 약불현야. 번작이끽야. 이지도무. 칙시영대왕, 환희용약지야. 구간등여기언. 함흔이가무. 미기앙이관지. 유자승자천수이착지. 심승지하. 내견홍폭과금합자. 개이시지. 유황금란육, 원여일자
<현대어역>
개벽한 후로 이곳에 나라의 이름이 없고 또한 군신의 칭호도 없더니 이때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등의 구간이 있어, 이들이 추장이 되어 인민을 거느리니(그 수효가)무릇 일백호, 칠만오천인이었다. 중서(촌인) 이삼백인이 이 곳에 모이니, 사람의 소리는 나는 듯하되, 그 형상은 있지 않고 소리만 내어 가르되 여기에 사람이 있느냐. 구간들이 이르되 우리들이 여기 있다 하였다.
순서
레포트/기타




고대가요의 대표작품인 구지가, 열하일기, 공무도하가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에서 무엇을 부르는 수상한 소리가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