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5 12:36본문
Download : [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hwp
Ⅰ. 구조와 기능
위장관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약 9m에 이르는 긴 관으로, 음식물의 섭취와 이동, 소화, 흡수 그리고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1) 저작저작은 제 5뇌신경을 통한 반사작용에 의해 음식물을 분해하고, 그 음식물에 소화 효소가 접촉할 수 있도록 섬유질덮개를 분해한다.
2. 식도1) 구조와 기능
식도는 기관과 후두 뒤편에 있는 직경 2cm, 길이 23~25cm의 속이 빈 근육성 기관이다. 식도의 몸체 중 일부분은 흉부절의 하부 식도 괄약근(lower esophag…(skip)
[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
설명
Download : [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hwp( 27 )
[의학,약학]성인간호,-,소화기계,요약,의약보건,레포트
순서
![[의학,약학]성인간호%20-%20소화기계%20요약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4%B1%EC%9D%B8%EA%B0%84%ED%98%B8%20-%20%EC%86%8C%ED%99%94%EA%B8%B0%EA%B3%84%20%EC%9A%94%EC%95%BD_hwp_01.gif)
![[의학,약학]성인간호%20-%20소화기계%20요약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4%B1%EC%9D%B8%EA%B0%84%ED%98%B8%20-%20%EC%86%8C%ED%99%94%EA%B8%B0%EA%B3%84%20%EC%9A%94%EC%95%BD_hwp_02.gif)
![[의학,약학]성인간호%20-%20소화기계%20요약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4%B1%EC%9D%B8%EA%B0%84%ED%98%B8%20-%20%EC%86%8C%ED%99%94%EA%B8%B0%EA%B3%84%20%EC%9A%94%EC%95%BD_hwp_03.gif)
![[의학,약학]성인간호%20-%20소화기계%20요약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4%B1%EC%9D%B8%EA%B0%84%ED%98%B8%20-%20%EC%86%8C%ED%99%94%EA%B8%B0%EA%B3%84%20%EC%9A%94%EC%95%BD_hwp_04.gif)
![[의학,약학]성인간호%20-%20소화기계%20요약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4%B1%EC%9D%B8%EA%B0%84%ED%98%B8%20-%20%EC%86%8C%ED%99%94%EA%B8%B0%EA%B3%84%20%EC%9A%94%EC%95%BD_hwp_05.gif)
![[의학,약학]성인간호%20-%20소화기계%20요약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84%B1%EC%9D%B8%EA%B0%84%ED%98%B8%20-%20%EC%86%8C%ED%99%94%EA%B8%B0%EA%B3%84%20%EC%9A%94%EC%95%BD_hwp_06.gif)
[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 , [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
[의학,약학]성인간호 - 소화기계 요약
레포트/의약보건
다.
1. 구강구강은 뺨(cheeks)과 경구개(hard palate: 입천장의 앞부분), 연구개(soft palate: 입천장의 뒷부분), 치아, 침샘, 혀로 구성된다된다.
2) 타액분비침은 혀밑샘, 턱밑샘과 귀밑샘에서 하루에 1~1.5L씩 분비되어 음식덩어리를 부드럽게 녹이고 프리알린 효소가 분비되어 위기저부(fundus)에서 위액과 섞인다. 또, 식도 점막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음식물을 부드럽게 한다. 식도벽은 바깥에서부터 섬유조직층, 근육층, 점막밑층, 점막층으로 되어있다아 식도의 상부는 가로무늬근으로 되어있으나 평활근처럼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고, 하부는 평활근으로 음식물을 위(stomach) 쪽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하며, 유륜층(areolar layer)은 근육층과 점막층을 연결하고 혈관과 림프관이 분포되어 있다아 식도 중간의 근육층에는 샘(gland)이 있어 제대로 저작하지 않은 음식이 식도를 통과할 때, 식도점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점액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부드럽게 한다. 후두인두부(hypopharynx)와 위를 연결하여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까지의 통로 역할을 한다.
3) 연하연하중추에 의해 조절되는 수의적 운동으로, 음식이 저작되는 수의적 구강기 후, 구강인두(oropharynx)의 수용체에 닿아 연하반사가 스타트되는 불수의적 인두기를 거쳐, 음식물이 식도부터 위까지 이동하는 불수의적 식도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