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인문사회] 종묘를 다녀와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6 17:18
본문
Download : 종묘宗廟를다녀와서.hwp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례를 올린 곳이기 때문에 조선시대 가장 정제되고, 장엄하고, 신성한 건물중 하나이다. 종묘건축의 중심인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가 모셔진 감실까지 제례자가 접근하기 위해서는 외부-담-정문-어로-어숙실-동문-묘정-툇간-실내 어둠의 공간-감실 등 여러 겹의 통로와 영역을 지나 도달해야 하는 통과의례를 거쳐야 한다. 뿐만 아니라 종묘는 대칭 적인 배치 속에서도 變化를 담고 있다. 종묘와 같은 제례건축에서 중시되는 것을 3가지로 표현해 보았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종묘, 문화, 문화재, 역사, 건축, 건축미, 세계문화유산, 관광객





순서
다. 첫째는 모셔진 신위를 위한 장소와 공간을 마련하는 것, 둘째는 제례예법에 맞는 건축공간을 조성하는 것, 셋째는 제례를 행하는 사람들이 머무는 공간과 움직임의 공간을 조성하는 것 이렇게 조성된 정전과 영녕전 공간은 극히 정밀하고 엄정하여 경외감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 되어야하는데 실제로 담으로 둘러싸인 넓은 묘정 공간을 들어서면 그러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이곳에 도달하기 위해서 제관은 제친 걸음으로 걸어서도 안되지만 돌아가도 안된다 이를 반영하듯 어로에는 거친 박석을 깔아 느리게 걷도록 하였는가하면, 종묘 정문에서 처음 되어 어숙실, 그리고 정전, 영녕전까지 이르는 어론은 지름길로 가듯, 곧바로 내닫는 듯, 담과 평행을 이루지 않는 긴장감을 이루는 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배치는 개별적으로 대칭을 벗어난 구성을 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대칭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용대상]
종묘의 여러 건축물들의 대한 나의생각과 간략한 정보를 기입하였다
설명
Download : 종묘宗廟를다녀와서.hwp( 30 )
[인문사회] 종묘를 다녀와서
종묘의 여러 건축물들의 대한 나의생각과 간략한 정보를 기입하였다 [이용대상]
기본적으로 종묘는 한국 건축의 일반적 속성 인 비대칭적 대칭배치를 하고 있다. 그리고 모신 신위가 증가함에 따라 몇 목차에 걸쳐 기존 건축측면에 이어 증축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 다른 건물들과 구별되는 독특하고 고유한 건축격식과 공간형식을 갖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