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ttour.co.kr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實驗(실험) > tnttour2 | tnttour.co.kr report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實驗(실험) > tnttour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nttour2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實驗(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2 03:14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실험.hwp




분리, 추출해낼 세포는 타액의 상피세포와 소의 근육조직 세포, 그리고 혈액의 백혈구 세포이고 각 세포들은 pre-lysis, cell-lysis, isolating gDNA 과정을 거쳐 DNA를 분리, 추출해낸다.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實驗(실험)
설명
Abstract
이번 실험은 생명을 이루는 가장 core 물질인 DNA를 RFLP 방법을 이용해 ADH와 ALDH2의 유전자형 analysis을 하고 각종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해 polymorphism을 찾아내기 위한 과정이 첫 단계로 DNA를 3가지의 세포에서 분리, 추출해내는 실험이다. 상피세포의 경우 먼저 세포를 얻기 위해 1.5ul tube에 타액(침)을 넣어주고 타액 안의 상피세포를 NaCl buffer와 섞어준 뒤, 충분히 reaction 시키고 원심분리 시켜 상층액을 제거해 cell lysis를 시킬 준비를 마치고 형성된 pellet을 nuclei lysis buffer와 함께 voltexing시켜 pellet을 풀어주고 incubation과정을 통해 핵막을 제거하고 단백질...

Abstract
이번 실험은 생명을 이루는 가장 core 물질인 DNA를 RFLP 방법을 이용해 ADH와 ALDH2의 유전자형 analysis을 하고 각종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해 polymorphism을 찾아내기 위한 과정이 첫 단계로 DNA를 3가지의 세포에서 분리, 추출해내는 실험이다. 근육세포의 경우 pre-lysis 단계에서 조직이 덩어리 져 있기 때문에 최대한 잘게 썰어 reaction 표면적을 넓히고 cell-ly…(省略)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실험 ,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실험생물의학실험결과 , [의학 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실험




순서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實驗(실험)

[의학,약학]생명과학,-,타액의,상피세포와,근유조직세포,혈액의,백혈구,등으로,부터,DNA를,추출,정제해내는,실험,생물의학,실험결과

Download : [의학,약학]생명과학 - 타액의 상피세포와 근유조직세포, 혈액의 백혈구 등으로 부터 DNA를 추출, 정제해내는 실험.hwp( 72 )








실험결과/생물의학

[의학,약학]생명과학%20-%20타액의%20상피세포와%20근유조직세포,%20혈액의%20백혈구%20등으로%20부터%20DNA를%20추출,%20정제해내는%20실험_hwp_01.gif [의학,약학]생명과학%20-%20타액의%20상피세포와%20근유조직세포,%20혈액의%20백혈구%20등으로%20부터%20DNA를%20추출,%20정제해내는%20실험_hwp_02.gif [의학,약학]생명과학%20-%20타액의%20상피세포와%20근유조직세포,%20혈액의%20백혈구%20등으로%20부터%20DNA를%20추출,%20정제해내는%20실험_hwp_03.gif [의학,약학]생명과학%20-%20타액의%20상피세포와%20근유조직세포,%20혈액의%20백혈구%20등으로%20부터%20DNA를%20추출,%20정제해내는%20실험_hwp_04.gif [의학,약학]생명과학%20-%20타액의%20상피세포와%20근유조직세포,%20혈액의%20백혈구%20등으로%20부터%20DNA를%20추출,%20정제해내는%20실험_hwp_05.gif


다. 분리, 추출해낼 세포는 타액의 상피세포와 소의 근육조직 세포, 그리고 혈액의 백혈구 세포이고 각 세포들은 pre-lysis, cell-lysis, isolating gDNA 과정을 거쳐 DNA를 분리, 추출해낸다. 상피세포 뿐만 아니라 소의 근육세포와 혈액의 백혈구세포도 이와 마찮가지 3단계의 과정을 거치는데, 첫 번째, pre-lysis과정과 cell-lysis 과저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isolating과정과 전기영동 후 DNA 확인과정은 모두 동일하다. 상피세포의 경우 먼저 세포를 얻기 위해 1.5ul tube에 타액(침)을 넣어주고 타액 안의 상피세포를 NaCl buffer와 섞어준 뒤, 충분히 reaction 시키고 원심분리 시켜 상층액을 제거해 cell lysis를 시킬 준비를 마치고 형성된 pellet을 nuclei lysis buffer와 함께 voltexing시켜 pellet을 풀어주고 incubation과정을 통해 핵막을 제거하고 단백질과 DNA를 분리하기 위해 PPT buffer를 넣고 sample을 차갑게 하여 DNA 추출하기에 최적의 온도 상태를 만든 뒤, 원심분리 시키면 gDNA를 isolating하기 위한 준비는 끝나고 DNA가 담겨 있는 상층액을 pellet이 따라오지 않게 다른 튜브에 옮긴 뒤, DNA를 가라앉히기 위해 isopropanol을 넣어주고 원심분리를 통해 가라앉은 pellet을 EtOH로 처리해 탈수 시키고 완전 건조시켜 순수한 DN만 남도록 하고 DIW를 넣어 녹인 뒤, 전기영동 과정을 통해 DNA를 확인한다.
전체 18,02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nttou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