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학] 문제 행동의 실제와 지도 / ▶ 문제 행동의 실제와 지도 관심을 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5 22:09
본문
Download : [유아교육학]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hwp
2. 수줍음과 완벽주의 수줍어하는 유아에게는 무엇이든지 해낼 수 있고 조절할 수 있는 역할놀이를 많 이 해보도록 한다. 유아에게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 관심을 끌려는 행동 수줍음과 완벽주의 화내는 ...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유아교육학 문제 행동의 실제와 지도 / ▶ 문제 행동의 실제와 지도 관심을 끌
순서
다. 유아의 수줍어하는 행동은 교사와 부모의 높은 혹은 낮은 기대 때문에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발달과 특성에 적합한 것을 기대하고 이를 유아가 인식하게 한다.
[유아교육학] 문제 행동의 실제와 지도 / ▶ 문제 행동의 실제와 지도 관심을 끌
▶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 관심을 끌려는 행동 수줍음과 완벽주의 화내는 ...
Download : [유아교육학]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hwp( 16 )
![[유아교육학]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6043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11/%5B%EC%9C%A0%EC%95%84%EA%B5%90%EC%9C%A1%ED%95%99%5D%20%EB%AC%B8%EC%A0%9C%ED%96%89%EB%8F%99%EC%9D%98%20%EC%8B%A4%EC%A0%9C%EC%99%80%20%EC%A7%80%EB%8F%84-6043_01_.gif)
![[유아교육학]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6043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11/%5B%EC%9C%A0%EC%95%84%EA%B5%90%EC%9C%A1%ED%95%99%5D%20%EB%AC%B8%EC%A0%9C%ED%96%89%EB%8F%99%EC%9D%98%20%EC%8B%A4%EC%A0%9C%EC%99%80%20%EC%A7%80%EB%8F%84-6043_02_.gif)
![[유아교육학]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6043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11/%5B%EC%9C%A0%EC%95%84%EA%B5%90%EC%9C%A1%ED%95%99%5D%20%EB%AC%B8%EC%A0%9C%ED%96%89%EB%8F%99%EC%9D%98%20%EC%8B%A4%EC%A0%9C%EC%99%80%20%EC%A7%80%EB%8F%84-6043_03_.gif)
![[유아교육학]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6043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11/%5B%EC%9C%A0%EC%95%84%EA%B5%90%EC%9C%A1%ED%95%99%5D%20%EB%AC%B8%EC%A0%9C%ED%96%89%EB%8F%99%EC%9D%98%20%EC%8B%A4%EC%A0%9C%EC%99%80%20%EC%A7%80%EB%8F%84-6043_04_.gif)
▶ 문제행동의 실제와 지도 관심을 끌려는 행동 수줍음과 완벽주의 화내는 행동 공격적 행동 괴롭히는 행동 습관적으로 우는 행동 미성숙과 발달 지연 활동을 격하게 하는 행동 과잉행동과 주의력 결핍장애 반항 제한에 대한 도전과 實驗 고자질과 경쟁 부모-유아 애착 거짓말 하는 행동 형제간의 경쟁 성인-유아간의 힘의 대결 방관하는 행동 1. 공격적인 행동으로 관심 끌려는 행동 부모는 매일 과심 끌려는 유아와 특별한 시간을 갖는다.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학습하도록 돕는다. 유아교육기관에서도 특별한 시간을 제공한다. 또래들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는 한도에서 유아의 문제 행동을 무시한다. 신체적인 공격적 행동을 용납하지 않으며 공격적인 TV 프로그램 시청을 못하게 한다. 긍정적 자아concept(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잘하거나 좋아하는 것을 격려하여 남에게 인정받고 칭찬 받는 경험을 하도록 한다. 집단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대하는 바람직한 행동을 체계적으로 지도한다. 유아의 수줍어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파악하여 부모 면담 및 교 육을 한다. 수줍어하는 유아를 다른 사람들에게 `수줍어하는 아이`라고 아이가 듣도록 말하지 않는다. 단답식 질문보다는 개방식 질문을 의도적으로 활용하고 적극적인 경청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