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ttour.co.kr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 tnttour1 | tnttour.co.kr report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 tnttour1

본문 바로가기

tnttour1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8 11:47

본문




Download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hwp




그러나 개화파들은 범인류보다는 내 민족을 지향하고, 전체적 질서보다는 개인의 권리가 우선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위정척사파는 항상 전체가 하나의 보편적 질서에 의해 통일되어야 한다는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질서의 중심을 이루는 것을 ‘宗’이라고 하였고, 그 宗에 입각하는 것을 ‘正統’이라 하였다. 개화파들이 서구적인 이념과 제도를 수용하고자 하였을 때, 실학사상이 바로 그것들을 수용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내외적인 위기에 봉착하여, 위정척사파와 개화파는 사로 그 해결책을 달리하였다. 즉 전통적인 中華의 관념이 天圓地方說에 입각한 것이라면, 이익이나 홍대용․정약용 등은 地圓說․地動說 등을 주장하여 China 중심적 세계관을 붕괴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반면 개화파는 제국주의 열강을 선진문명국으로 규정하고, 通商開國을 통하여 國富를 증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개별적 다양성을 전제로 하는 경험주의적 방법론이 등장하게 된다

조선후기 사회는 내definition 부패로 인한 민생의 파탄과 제국주의 열강의 도전이라는 이중적인 과제課題에 직면하고 있었다. 그러나 개체주의적 입장에 선다면 宗이라는 것도 없어지고 정통이라는 것도 없어진다. 이미 조선후기의 실학자들에 의해 민권사상 등 자유평등론의 맹아와 상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체제 그리고 통상개국론 등이 제기된 바 있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상대주의와 다원주의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체를 일관하는 보편적 진리라는 것도 존재할 수 없고,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게 마련이다. 위정척사파가 예의문물과 덕치로 표현되는 기존의 典章制度를 회복하고 農本的 兵農一致를 실현함으로써 시대적인 과제課題를 해결하려고 했다면, 개회파는 궁극적으로 서구 市民사회의 이념과 제도를 수용하고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을 도입하여 부국강병을 달성함으로써 시대적인 과제課題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면 모두가 定이고 모두가 正統이다. 위정척사파에 있어서는 내 민족보다는 범인류를 지향하고, 나보다는 국가적 전체를 지향하는 것이 ‘君子’의 공정한 心法이었다. 실학파드르이 이러한 민족주의적 定向은 당시 새롭게 제기된 자연과학적 성과에 의해 더욱 확고하게 되었다.
이러한 논리는 history인식에 명확히 드러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China사람은 China으로써 정계를 삼고 서양으로써 倒界를 삼는다. 대외적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위정척사파는 제국주의 열강을 불의의 침략세력(禽獸)로 규정하고 저항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제국주의 열강이 중화적 질서체계로 편입해 올 것을 요구하였다. 이익이 “동국은 스스로 동국이다(東國自東國)”라고 하였듯이, 그에게 있어서 민족적 자기동일성에 대한 자각이 뚜렷하게 제기됨을 볼 수 있따 실학자들은 우리의 history뿐만 아니라 疆土․言語․風俗 등 다양한 방면에 주체적인 관심을 기울여서 민족정체성의 재확인에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반면에 서양 사람은 서양으로써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2) 個體重視의 논리

개체중시의 논리란 보편적 전체보다는 특수한 개체를 중시하는 것을 말한다. 그는 조선의 독립적 history를 새롭게 서술해야 할 피료썽을 강조하였는바, 독립적 history를 서술한다는 것은 민족의 자기동일성을 확인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긴요한 과제課題라 하겠다. 개화파에게 있어서는 사고의 초점이 개체에 있고 전체에 있지 않다. 성호 이익은 우리나라 선비들이 China의 history만 배우고 우리의 history를 소홀히 하는 것을 통렬히 비판하였다.설명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개화파들이 이러한 생각을 지니게 된 것을 순전히 외래적인 것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홍대용은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따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Download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hwp( 99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순서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4578_01_.jpg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4578_02_.jpg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4578_03_.jpg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4578_04_.jpg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4578_05_.jpg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사상계의 사상 동향

.
다. 통상개국이란 조선이 서구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질서에 편입됨을 의미한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tnttour.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tnttour.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