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인과관계의 추론과 조사설계의 타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9 19:49본문
Download : 인과관계의추론.hwp
*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이 2배 높다는 것보다는 20배가 높을 때, 인과관계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1) test(실험) 집단이 오염된 경우
Download : 인과관계의추론.hwp( 58 )
앞쪽의 변수가 요인이 되어서 뒤쪽 변수의 결과를 발생시키는데, 요인이 되는 변수를 독립변수라 하고 뒤쪽의 변수를 결과변수, 종속변수라 한다.
⑵ test(실험) 대상의 reaction response效果(효과)와 통제plan
3) observe 및 측정(measurement)방법에 관련된 요인
⑵ 역싸요인(history)
4) 단일위협요인들의 상호작용
⑴ test(실험) 자 기대效果(효과)와 통제plan
2. 통계적 결론의 타당성
2) 공동변화와 연관성





따라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가 상호 관련되어 있지 않다면 한 변수가 다른 변수의 요인이 될 수 없다.
⑴ 성숙요인(maturation)
1) 추정된 요인 이외의 요인에 기인한 대상집단의 特性(특성)변화
3. 내적 타당성
2) 통제집단이 오염된 경우
⑵ 측정(measurement)수단요인(instrumentation)
* 업적이 동기변화를 유발하는가, 아니면 동기변화가 업적을 변화시키는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셋째, 결과는 요인변수에 의해서만 설명(說明)되어야 하며 다른 변수에 의한 설명(說明)가능성은 배제되어야 한다(비허위적 관계).
[본문일부]
⑴ 검사요인(testing)
⑵ 과장적 오염(exaggerating contamination)
2. 인과적 추론의 조건
3) 비허위적 관계
4. 구성concept(개념)의 타당성 구성concept(개념)의 타당성
⑴ 연관관계의 강도
1. 인과관계의 의의
첫째, 요인은 결과보다 시간적으로 앞서야 한다(시간적 선후관계).
행정 및 정책현상의 연구에서는 인과적 사고가 중요하다.
2. 인과적 추론의 조건
다.
연관관계의 강도는 연관성의 크기를 의미한다.
둘째, 요인과 결과는 공동 변화하여야 한다(공동변화와 연관성).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에,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그 위협요인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 글입니다. → 행정 및 정책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수단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1. 타당성의 의의
인과관계, 타당성, 조사설계, 오류, 통계
* 흡연이 폐암을 유발, 심리적 좌절이 자살을 야기한다. 요인이란 어떤 현상을 일으키거나 변화시키는 요인 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기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선행요인을 의미한다.
○ 인과관계란 가설을 구성하고 있는 변수들간의 관계를 결정짓는 사항에 관한 것이다.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에 대해서 설명한 뒤에,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그 위협요인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 글입니다. 인과적 사고란 직무만족, 역할갈등, 교통사고율 등의 행정문제 및 정책문제를 설명(說明)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이들 변수에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인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1) 시간적 선후관계
순서
○ 과학적 설명(說明)에서의 核心(핵심)적인 Task 는 인과관계, 즉 요인과 결과사이의 관계를 밝혀서 그 결과로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說明)하는 것이다.
⑴ 연관관계의 강도
2) 공동변화와 연관성
⑴ 보상적 오염(compensatory contamination)
⑵ 연관관계의 일관성
[목차]
[조사방법론] 인과관계의 추론과 조사설계의 타당성
1) 시간적 선후관계
제2절 조사설계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지능이 낮은 사람과 높은 사람이 똑같이 범죄를 저지른다면 지능은 범죄의 요인이 될 수 없다.
① 제1종 오류
1. 인과관계의 의의
독립변수가 요인이 되고 종속변수가 결과가 되는 관계라서 요인과 결과관계, 이를 줄여서 인과관계라 하며, 인과관계의 정도를 강도라 한다.
2) 표본의 무작위 배정 및 대표성에 관련된 요인
② 제2종 오류
제1절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
* 연관성의 정도가 크다는 것만으로 인과적 설명(說明)의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현장에 출동한 소방관이 많을수록 화재의 피해가 크다).
○ 가설은 연구주제와 연구내용을 현실적인 경험사회에서 검증이 가능하도록 변수를 조작시켜서 각 변수들의 관계를 진술한 것이다.
설명
인과관계 추론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J. S. Mill)
제 1 절 인과관계와 인과관계의 추론
요인이 되는 현상이 변화하면 결과적인 현상도 항상 같이 변화해야 한다는 ‘상시연결성의 원칙’ 또는 ‘공동변화의 원칙’이다. 즉 두 변수간에 연관성이 크다는 것이 인과관계를 주장하는데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지만 그 정도가 커지면 인과관계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⑶ 회귀요인(regression)
⑴ 선발요인(selection)
⑵ 상실요인(mortality)
따라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결과나 종속변수를 산출하는 요인이 되는 요소인 독립변수가 먼저 발생하든지 변화하여야 한다.
요인이 되는 사건이나 현상은 결과보다도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해야 한다는 것으로 ‘시간적 선행성의 원칙’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