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심폐소생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5 15:06본문
Download : 심폐소생술.hwp
<용어 정이>
CPR
<심정지시 순환유지의 목적>
② 4~6분 : 뇌 손상 가능성이 높음.
심폐소생술 과정 등 정리(整理) 한것
(1) 모든 무의식 환자
2.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3. 시간에 따른 환자의 상태
[응급] 심폐소생술
심 정지 후 4-6분간 지나면 뇌조직에 불가역적인 손상을 주어 죽음에 이를 수 있어서 CPR은 심 정지 후 적어도 3-4분내에 실시하여야 함. 그러기 위해서는 심정지 증후를 빨리 파악 한 후 심정지와 호흡정지가 확인되면 CPR을 단계적으로 시행하여야 함.
순서
① 0~4분 : 소생술을 실시하면 뇌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음
② 구조성 原因
1. 정이
* 심장과 폐의 정지현상 : 급성심부전 및 폐부전증 등에 의하여 생기므로 그 原因을 analysis(분석) 해서 처치에 적용.
- 심폐소생술 : 다양한 방법과 수기로 자발 순환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일련의 과정
Download : 심폐소생술.hwp( 30 )
4. 심폐소생술의 대상
→호흡부전증의 原因 : 저산소, 호흡기로 폐쇄 또는 폐질환, 혈액의 산소운반능력 이상, 중추성 호흡조절 능력 마비 등
적절한 뇌 혈류 및 관상동맥혈류를 유지하는 것.





: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처음 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됨.
레포트 > 의학계열
관상동맥 혈류량 : 심박동의 회복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효율적인 CPR을 위해서는 환자의 머리가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면 뇌 혈류량이 감소하므로 수평을 유지하고 등뒤에 딱딱한 판자를 대는 것이 좋음.
설명
③ 6~10분 : 뇌 손상이 확실함.
- 심정지 : 심장의 박동 기능이 중지된 상태로서 임상적으로는 reaction response이 없고 맥박이 만져지지 않으며 호흡이 없거나 임종 호흡이 있는 경우
심폐소생술 과정 등 정리한것
④ 10분 이상 : 심한 뇌 손상 또는 뇌사상태가 됨.
→심부전증의 原因 : 심근수축력 억제, 흥분, 관상동맥혈류량 부족 등
: 부상이나 질환 등으로 인하여 호흡이 중지되거나 심장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의료요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시행함으로서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주는 응급 처치, 정상 심박출량의 40%를 유지할 수 있음
두부손상(심한 뇌좌상, 뇌진탕, 뇌찰과상, 경막상출혈, 혈종, 총상)
① 대사성 原因 : 저혈당증, 고혈당증, 요독증
- 기본 심폐소생술 : 의료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시행하는 심폐소생술(기도 유지, 인공호흡, 흉부압박)을 말함
뇌 혈류의 유지 :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 및 뇌 손상의 정도를 결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