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의 편제와 장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17:45
본문
Download : 통일신라의 편제와 장보고.hwp
미다부리정이 설치된 미동부리현(미동부리현)은 무진주 직속의 영현(영현)으로서 영산강유역의 요충지인 오늘날의 남평 지역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무진주 영역을 효능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요충지였던 것이다. 백제의 군현 편성체계에서 현(현)이었던 것이 통일신라 때에 군(군)으로 승격된 다음의 사례(instance)들을 통해서 이러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따
가) 반나부리현(반나부리현)->반남군(반남군)[오늘날의 나주군 반남면]
나) 고시이현(고시이현)->갑성군(갑성군)[오늘날의 장성]
다) 도산현(도산현)->뇌산군(뢰산군)[오늘날의 진도]
라) 아차산현(아차산현)->압해군(압해군)[오늘날의 신안군 압해도]
먼저 …(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지방 편제의 주목적은 재지세력을 결과 적으로 통제하면서 국가적 수세원(수세원)을 확보하는 데 있었다고 할 수 있다아 통일신라는 우선 재지세력의 발...




통일신라의 편제와 장보고
레포트/인문사회
다.
군현을 편제하는데 있어서도, 통일신라는 기본적으로 백제의 옛 군현 편성체계를 바탕으로 하되, 영산강유역 재지세력의 影響력을 충분히 고려하고 이 지역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십분 감안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는 우선 재지세력의 발... , 통일신라의 편제와 장보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통일신라의 편제와 장보고.hwp( 66 )
순서
지방 편제의 주목적은 재지세력을 효능적으로 통제하면서 국가적 수세원(수세원)을 확보하는 데 있었다고 할 수 있따 통일신라는 우선 재지세력의 발호를 통제하고 지방의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국의 요지에 10정(정)의 지방 군단을 상주시켰는데, 무진주에는 미다부리정(미다부리정)을 설치하였다.
설명
지방 편제의 주목적은 재지세력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면서 국가적 수세원(수세원)을 확보하는 데 있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