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理論 및 사례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3 05:40
본문
Download :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이론 및 사례분석.pptx
Download :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이론 및 사례분석.pptx( 30 )
순서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理論 및 사례分析(분석)
_SLIDE_1_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theory 및 事例(사례)analysis(분석)
_SLIDE_2_
x
R
R1(x)
R0
R(x)
R2(x)
x2
x
X1
일반적으로는創業(창업)history가 긴 기업, 대규모 기업, 노사협의회 운영이 활발한 기업, 업종별로는 전기 및 전자업종, 다품종 대량생산을 추구하거나 고품질고부가가치 생산전략(戰略) 을 추구하는 경우 노동자들의 현장지식 전달이 중요하며 따라서 경영 참가의 사회적 최적 수준이 높음.
반대로 저품질저부가가치 생산을 추구하는 경우와 소규모의 기업, 소품종소량 생산 기업, 섬유 업종 등에 종사하는 기업, 신생기업은 경영참가의 사회적 최적 수준이 낮음.
그러나 산업 및 기업규모별 경영 참여의 사회적 최적 수준을 결정론적으로 말할 수 없음.
R1: 노동자의 경영참여수준이 낮고, 성과(수익)이 높은 수준인 경우
경영참가 권한의 사회적 최적 수준과 상황적합성
R2: 노동자의 경영참여수준이 높고,성과(수익)이 높은 수준인 경우
_SLIDE_3_
기준에 따른 경영참여 수준 구별법: GBM (Go’s Business Participation Model)
GBM이란
Fiedler’s Contingency Theory를 응용한 모델로, 세가지 기준에 따라 노조의 참여수준이 낮은 경우(R1)를 선택해야 할 지 높은 경우(R2)를 선택해야 할 지를 결정해줌.
결정기준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이며, 먼저 따져볼수록 결정기준 가중치가 높음.
1. 노사 관계 협력적이며 분위기가 좋은가
2. 업계가 높은 수준의 혁신을 필요로 하는가
3. 경영자가 경영전권을 강하게 고수하고자 하는가
_SLIDE_4_
노사 관계 협력적이며
분위기가 좋은가
높은 수준의 혁신을 필요로 하는가
경영자가 경영전권을 강하게 고수하고자 하는가
Y
N
참여수준
R1
R1
R1
R2
R2
R2
R1
R2
기준에 따른 경영참여 수준 구별법: GBM (Go’s Business Participatio…(省略)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이론 및 사례분석 ,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이론 및 사례분석경영경제레포트 , 노동자 경영참여와 성과 이론 사례
노동자,경영참여와,성과,이론,사례,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노동자의 경영참여와 성과에 관한 理論 및 사례分析(분석)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