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와 순자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6 00:28
본문
Download : 장자와 순자에 대하여.hwp
맹자의 `인정(仁政)`학설에 반해서, 순자는 제후들이 서로 전쟁을 벌이는 상황하에서 인정(仁政)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반드시 경전(耕戰)정책을 동시에 실행하여 국력을 강화해야 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장자와 노자의 기본사상과 처세학은 일치하는데, 그것은 바로 자연에 순응하고 인간의 절대적 자유를 위해 무위(無爲)하는 것이다.
순자는 정치사상의 theory(이론) 기초로써 맹자의 `성선론(性善論)`과 상반되게 `성악론(性惡論)`를 제기하였다.
자의 중요한 공헌은 유가의 `예(禮)`에 대하여 새로운 논리를 진행한 점이다. 순자도 `예`를 매우 중시하였지만, 그가 말한 `예`는 공자(孔子)의 `예`와는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아 공자가 지적한 것은 주례(周禮)이고, 순자가 말한 것은 전국시대의 예이다. 다시 말하면 인성(人性)은 태어날 …(drop)
Download : 장자와 순자에 대하여.hwp( 52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장자와 순자의 생애와 시대인식 사상 등에 대하여 쓴 독서 자료입니다. 뿐만 아니라 순자는 `예`를 `법(法)`과 결합함으로써 `예`에 도덕적인 내용 외에도 법적인 내용을 가지게 하였다. 소극적인 현실도피를 부추기는 이러한 도가사상은 적극적인 현실참여를 주장하는 유가사상과 완전히 다르다.장자와순자 , 장자와 순자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다. 도가사상은 역경과 실의의 입장에 처해 있는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기 매우 쉬워 그들의 정신적 안식처가 되었다.
장자와순자
설명



장자와 순자에 대하여
1.장자의 생애
2.장자의 시대인식
3.장자의 사상
1.1 도
1.2 제물론
1.3 장자의 정치 사상
4.장자 사상의 특징
5.후대에 미친 effect
1.순자의 생애
2.순자의 사상
3.후대에 미친 effect
장자의 사상은 기본적으로 노자의 사상과 일맥상통하지만 다소의 차이점도 있다아 노자는 세상에는 대소, 고저, 장단의 차이가 있고, 미추, 선악의 대립이 있다고 하였지만, 장자는 그러한 구별과 대립을 완전히 부인하고, 세상에는 시비도리(是非道理)라 할 만한 것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순자의 제자 중에는 한비(韓非)와 이사(李斯) 등과 같은 유명한 법가가 배출되었다.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악한 것이며, 그것이 선하다는 것은 거짓이다(人之性惡, 其善者僞)`고 하였다.장자와 순자의 생애와 시대인식 사상 등에 대하여 쓴 독서 reference(자료)입니다. 순자의 이러한 사상 관점은 실제로 유가의 `예치(禮治)`사상에서 법가의 `법치(法治)`사상으로 향하는 과도기적 입장에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사회가 혼란하고 정치가 부패하여 천하가 태평스럽지 못했던 시대에는 노장사상이 매우 유행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