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의 history(역사) 서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4 23:15
본문
Download : 그리스인의 역사 서술.hwp
그는 그런 본질의 分析(분석)에서 페르시아 전쟁을 민주주의와 전제왕조의 대결이라는 평가까지 하고 있따 그런 그의 평가가 옳은 것은 아니지만 그의 서문에서 ‘탐구’의 결과를 ‘보고’한다는 정신에서도 알 수 있듯 탐구와 평가, 즉 전범(典範)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최초의 歷史 서술이라고 할 수 있는 셈이다.
Download : 그리스인의 역사 서술.hwp( 42 )






,감상서평,레포트
그리스의역사서술 , 그리스인의 역사 서술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1. 歷史 서술의 기원이라는 측면에서의 그리스 문명
2. 인식 전환 이전과 전환의 배경
1)세계관의 變化
2)歷史 탐구의 맹아-기록 체계화의 스타트
3. 본격적인 歷史 서술
1)헤로도토스-탐구로서의 歷史
2)투키디데스-순환 歷史관
3)폴리비오스-최초의 세계사
4. 그리스 歷史관과 근대 歷史관
3. 본격적인 歷史 서술
1)헤로도토스-탐구로서의 歷史
헤로도토스는 당쟁에 휘말려 망명생활을 하면서 여러 곳에 걸친 대여행을 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인 넓은 시야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헤로도토스만…(skip)
그리스인의 history(역사) 서술
설명
그리스의history(역사) 서술
레포트/감상서평
다. 그리스인의 종교관에 입각한 것으로 히브리스 네메시스란 concept(개념)으로 통칭된다 그리스의 인간적인 신은 보통의 인간처럼 시기·질투를 하는 존재로써 신이 설정한 인간 세계에 있어 그 설정을 넘어서는 행위를 용납하지 않았다. 동방에 대한 여행은 그에게 일방적 시각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당시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 전쟁으로 인해 동방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에 대한 욕구 충족의 결과로 진실을 구명하려 애쓰는 헤로도토스의 행동으로 귀결되었다. 동방의 입장에 대하여도 충분히 알게된 그는 애국적 선입관에 사로잡혀 자신의 판단과 공정성을 왜곡하지 않았다. 물론 그의 글에는 초자연적인 서술이 적잖이 나오지만 그것이 세계를 바라보는 당대 그리스인의 기본시각일 뿐이다. 결국 그가 여행하며 보고 읽은 것은 탐구에 의해 입증되고 상식에 의해 비판되어 진실을 구명하려는 증거로 쓰이게 된다 歷史라는 장르의 출현인 것이다. 즉 지나친 번영으로 인한 오만(히브리스)은 인간이 자신의 분수를 잊고 자신의 힘을 과신하여 남을 경멸하고 신을 경시해 종국에는 신의 질투로 이어져 신벌(네메시스)를 받아 파멸한다는 것이다. 그는 헤카타이오스의 influence을 받아 그가 다녔던 여행로를 여행했는데 그 때문인지 페르시아 전쟁을 기록하면서도 그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동방민족의 歷史나 지리를 상세히 언급했다. 관망자의 입장에서 누구에게도 치우치지 않은 채 사건의 본질을 보려고 애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