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윤리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1 05:59
본문
Download : 제3장순자의윤리사상.hwp
나면서부터 아름다운 소리와 색을 좋아하는 이목(耳目)의 욕망이 있어 그 본성을 따름으로 무절제함이 생기고 예의(禮義)와 문리(文理)가 없게 된다 ․․․ 이렇게 보아 인간의 본성은…(To be continued )
순서
순자의윤리사상,순자의윤리사상,순자의윤리사상,인문사회,레포트
1.서론, , (1). 순자(荀子), , , 2.본론, , (1). 성악설(性惡說)과 윤리, (2). 예(禮)와 윤리, (3). 도덕수양론(道德修養論), 1) 적학(積學), 2) 지행합일(知行合一), , , 3.conclusion , , 4.참고자료(資料) , , 자료(資料)크기 : 45K
순자의 윤리사상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남을 질투하고 미워함이 있어 그 본성을 따르는 까닭에 남을 해치는 일이 생기고 충성과 신의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동물의 본능과 확연히 구별하지 않았으며 성악설을 주장하였는데, 순자가 왜 성을 악하다고 하였는가?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의 본성은 악(惡)한 것이니 그것이 선(善)하다고 하는 것은 인위적 노력에 의한 것이다. 이제 인간의 본성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는데 그것을 따르기 때문에 싸움이 생기고 사양(辭讓)함이 없어졌다. 그리하여 인(仁)․의(義)․예(禮)․지(知)의 도덕성을 인간 고유의 본성으로 보아 인간이 도덕적 존재임을 천명하였다.
Download : 제3장순자의윤리사상.hwp( 80 )






1.서론, , (1). 순자(荀子), , , 2.본론, , (1). 성악설(性惡說)과 윤리, (2). 예(禮)와 윤리, (3). 도덕수양론(道德修養論), 1) 적학(積學), 2) 지행합일(知行合一), , , 3.결론, , 4.참고자료 , , FileSize : 45K , 순자의 윤리사상 인문사회레포트 , 순자의윤리사상 순자의윤리사상 순자의윤리사상
1.서론
(1). 순자(荀子)
2.본론
(1). 성악설(性惡說)과 윤리
(2). 예(禮)와 윤리
(3). 도덕수양론(道德修養論)
1) 적학(積學)
2) 지행합일(知行合一)
3.結論(결론)
4.참고
1. 성악설(性惡說)과 윤리 순자가 선악(善惡)을 나누는 것은 맹자와는 크게 다르다. 맹자는 인간과 동물을 구별짓는 특성(特性)을 본성으로 간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