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지도자론D]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theory 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9 13:35
본문
Download : 하우스의 경로 목표이론.hwp
Download : 하우스의 경로 목표이론.hwp( 46 )
2. 리더십의 특징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theory 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원, 학교, 사업장, 가정, 병동)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하였습니다. 따라서 리더십유형을 지시적, 지원적, 참여적, 성취중심적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리더십유형이 效果적일 수 있는 상황조건을 제시하였다.
1. 하우스의 경로-goal(목표) 이론(理論)에 근거하여 내가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원, 학교, 사업장, 가정, 병동)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참고data(資料)]
1) 기대이론(理論)에 기반을 둔 새로운 모형의 제시
Ⅳ. 하우스의 경로-goal(목표) 이론(理論)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원, 학교, 사업장, 가정, 병동)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
이대웅, 지도자의 전략(strategy)과 리더십, 혜진서관, 1999
즉 과업의 높은 구조화로 인한 성원들의 내재적 직무만족부족에 따라 좌절이 발생하는 상황, 성원들이 고도의 사회화욕구를 지니고 있는 상황, 그리고 집단의 성원 상호간에 직무상 상호작용이 아주 필요한 상황에서 협조적인 분위기가 필요한 경우에 지원적 리더십행위는 效果적이다.
3) 경로-goal(목표) 모형의 상황요인
Ⅰ. 서 론
설명
지시적 리더십(directive leadership)은 리더가 성원들에게 일일이 지시를 하고 안내를 하여 과업구조를 주도하고, goal(목표) 달성을 할 수 있게끔 유도해 준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EBS 독학사연구회 편저, 경영조직론, 지식과미래, 2009 페터드뢰제 외, 김종영 역,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이상오, 리더십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이대웅, 지도자의 전략과 리더십, 혜진서관, 1999 박민생 외, 조직론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6
4. 성공적 리더십
Ⅱ. 리더십 이론(理論)
그들은 리더의 행위, 즉 지시적, 지원적, 참여적, 성취중심적 리더십과 성원의 특성(特性) 및 과업구조, 즉 직무만족, 리더의 수용, 노력, 성과, 보상관계에 대한 기대 등의 상황적 요인간의 관계를 규명코자 하였다.
반면에 과업의 구조화가 잘 되어 있거나, 경로-goal(목표) 관계가 명확하게 되어 있는 상황, 그리고 충분한 직무지식과 지량을 갖추고 자기지시적인 성원이 존재하는 경우는 비效果적이다.
3. 경로-goal(목표) 이론(理論)의 기대效果
지시적 리더십은 직무의 구조화가 잘 안 되어 있는 경우에 성원들의 긴장과 좌절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 리더의 지시를 기대하고 있는 상황, 리더에 대해 복종적이며 의존성이 큰 상황, 정보와 기술적인 면에서 리더의 후원이 필요한 상황, 그리고 리더가 강력한 직위권한을 지니고 있는 상황에서는 지시적 리더십이 效果적이다.
2. 경로-goal(목표) 이론(理論)의 내용
[참고 reference(자료)]
페터드뢰제 외, 김종영 역,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하우스(R. J. House)와 미첼(T. R. Mitchell)의 상황요인은 일정한 것으로 간주하여 특요점더가 상황적인 제약조건 하에서 성원들의 goal(목표) 달성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의 문제를 추구하고 있다.
EBS 독학사연구회 편저, 경영조직론, 지식과未來, 2009
반면에 과업구조화가 잘 되어 있지 않아서 불확실성과 좌절감이 존재하는 경우, 지원적 리더십행동이 과업달성에 별 도움이 없는데 계속 지나친 리더의 행위를 나타내어 무능과 약점을 노출시킨 상황, 그리고 상하간의 신뢰성결여로 인해 지원적 리더십을 악용하는 경우(나쁜 성과에 대한 벌의 두려움이 존재하지 않음)에는 비效果적이다.
지원적 리더십이 效果적이 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이상오, 리더십 歷史(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원, 학교, 사업장, 가정, 병동)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하였습니다.
다.





4. 경로-goal(목표) 이론(理論)의 평가(의의, 한계)
박민생 외, 조직론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6
1. 리더십의 定義(정의) 및 concept(개념), 피료썽
3. 리더십이론(理論)
순서
2) 리더의 행동
Ⅰ. 서 론
Ⅴ. 결 론
1. 이론(理論)의 개요
2. 내가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
Ⅲ. 하우스의 경로-goal(목표) 이론(理論)
간호지도자론,간호지도자론d,하우스의경로-목표이론,하우스,하우스의경로목표이론,하우스경로목표이론,지도자상,하우스지도자상,
[간호지도자론D]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theory 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하여 보시오
지원적 리더십(supportive leadership)은 리더가 성원들에게 보다 우호적이고 친근하며 인간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특성(特性)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