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토목학/농기계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9 08:36본문
Download : 농업토목학농기계학.hwp
따라서, 관개효율을 10%만큼 높이면, 그만큼의 수자원을 개발하는 것에 해당하므로 결국 효율적인 물관리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따
지금까지의 농업용수 관리기술은 도수손실량을 줄이기 위한 수로의 구조물화, 관수로화 등의 방법을 적용하거나, 윤환관개, 간단관개 등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따 그러나, 이와 같은 물관리 기술은 극히 일부 관개지역에 제한적으로 시행해 왔으며, 그 이유는 적절한 물관리 기술이 정착되지 못한데 기인하였다고 할 수 있따 미국에서는 관개수의 절약을 위해 써지관개법, 결핍급수법 등을 체계화하고, 고효율 관개방식의 채택, 윤환관개, 계획관개 등을 통해 관개효율의 개선을 꾀하고 있따 그밖에도, 수세의 조정, 물은행제도 등 다양한 수요관리방법을 통해 가뭄을 극복하는 노력을 하고 있따 한편, 日本 의 경우, 가뭄 극복을 위한 대책으로 취수제한, 물의 용도전용, 가뭄이 심한 지역에 대한 집중관개의 실시, 초장의 윤환관개 등과 함께, 소규모 저수지의 가뭄 위험도를 평준화하는 일과 수로의 관수로화 등을 통해 수자원의 이용율을 높이고, 도수효율을 개선하는 등의 방안(方案)을 실용화하고 있따 대만에서는 계절적인 용수부족에 대처하기 위한 물관리 대책과 대체 수자원 개발 등을 적용하고 있따
이상과 같이, 농업용수의 절수는 수원공, 도수시설, 포장 등 전체의 관개 시스템을 통해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현행 저효율 관개방식을 대체하고, 계절적, 지역적 물 부족을 슬기롭게 대체함으로서 성취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용수절약과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용수 이용체계의 개발, 관개기술의 향상 등을 통해…(省略)
레포트/기타






농업토목학/농기계학
다.순서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관개효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data(자료)는 없으나, 지역별로, 관개지역의 규모별로, 용배수조직의 종류별로, 혹은 관개방식과 물관리 수...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관개효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지역별로, 관개지역의 규모별로, 용배수조직의 종류별로, 혹은 관개방식과 물관리 수... , 농업토목학/농기계학기타레포트 ,
Download : 농업토목학농기계학.hwp( 30 )
,기타,레포트
설명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관개효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資料)는 없으나, 지역별로, 관개지역의 규모별로, 용배수조직의 종류별로, 혹은 관개방식과 물관리 수준에 따라 60-70%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따 즉, 도수손실, 10-15%, 포장손실 15-20%내외로서 이와 같은 손실 수량은 결국 이용되지 않고 하천에 회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