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똥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1 09:23
본문
Download : 영화 똥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hwp
영화똥개
,생활전문,레포트
레포트/생활전문
순서
영화 똥개를 보고 영화에서 보이는 똥개와 프로이드 이론, 에릭슨 이론으로 보는 똥개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설명
1) 영화에서 보이는 똥개
2) 프로이드 理論으로 보는 똥개
3) 에릭슨 理論으로 보는 똥개
2) 프로이드 理論으로 보는 똥개
프로이드 理論에서 말하는 구강기, 즉 출생에서 1세의 시기에 어머니는 없었지만 할머니와 아버지라는 보호자가 있었으며, 또한 엄마의 사랑이 가득한 분위기에서의 수유만큼 행복하고 안정되어 있지는 않았겠지만 동네 아주머니들로부터 젖동냥을 다녔으므로 고착현상이 나타날 만큼의 불만족의 상태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물론 영화 안에서도 똥개는 과음을 한다던지 혹은 과식을 한다던지 하는 구강적 성격은 띄지 않는다. 똥개가 이 현상을 순조롭게 지나지 못해 동성연애자가 되지는 않았지만 위에서 말한 것처럼 어머니를 차지하지 못함으로써 아버지를 닮아 가려는, 아버지의 도덕률과 가치체계를 내면화하고 남성적 역할을 습득하며 자아 이상을 발달시켜야 하는 이 시기에 그러지 못한 똥개는 자아와, 초자아의 발달이 미약하고 이 단계를 순조롭게 넘어가지 못해 앞으로의 성격에 결함을 주게 되었을 것이다. 또한 6세 정도부터 처음 하여 사춘기에 접어들기까지의 시기…(To be continued )
영화 똥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다. 프로이드가 말하는 남근기의 가장 중요한 현상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똥개에게는 일어날 수가 없다.
문제가 되는 것은 지금부터 말할 남근기이다.영화똥개 , 영화 똥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생활전문레포트 ,
Download : 영화 똥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hwp( 34 )
영화 똥개를 보고 영화에서 보이는 똥개와 프로이드 理論(이론), 에릭슨 理論(이론)으로 보는 똥개에 대하여 작성했습니다. 1세에서 3세의 시기 즉 항문기에는 본능적 욕구에 대한 통제의 피료썽으로 자아가 발달되게 되는데, 이 시기에도 할머니와 아버지가 대 · 소변 가리기 훈련을 시켰을 것이고 그에 따라 정상적으로 자아의 형성이 일어났을 것이라 생각된다 반증으로 똥개라는 인물은 수전노의 인색함이나 결벽증 등의 항문기적 성격은 보이지 않는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어머니를 성적 애착의 대상물로 바라게 되지만, 아버지로 인해 어머니를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아버지를 동일시하여 양심과 남성적 역할을 습득하고 자아 이상을 발달시키는 것인데 어머니가 없지는 않지만 어머니가 식물인간인 상황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일어날 수 없었을 것이다. 남근기는 대략 3세 이후부터 4~5세 까지를 말하는데 성별에 대한 신체적 차이를 인식하고 원본능, 자아, 초자아가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