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感想文] 세계화의 덫(서평) / 세계화의 덫 우리에게 진정한 세계화란 무엇인가 한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14:19본문
Download : 세계화의 덫(서평).doc
케인즈가 이야기한 정부의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아닌 최소한의 정부만이 존재하여 모든 것을 자유롭게 풀어야 한다는 것을 그 이념으로 삼는다. 자각하지 못한 상태에 모든 것을 다 내어준 우리는 현재를 어떻게 정의(定義)할 수 있을 것인가 결과적으로 모든 자본시장을 개방해서 우리가 얻은 것은 무엇이 있는가 모든 시각이 편향된 상태에서 결과적으로 희생양이 되어버린 국민들의 안정된 삶을 국가의 존립이라는 것과 맞바꾸는 상태에 이르지 않았던가. 과연 IMF 이후 이 사회는 어디로 달려가고 있는가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20대 80의 사회가 다른 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왜 인식하지 못하는가.세계는 동·서간의 이데올로기 싸움이 끝난 뒤 신자유주의가 물결치고 있다.세계화의 덫 - 우리에게 진정한 세계화란 무엇인가 한스 페터 마르틴 하랄...
Download : 세계화의 덫(서평).doc( 88 )
-9123_01_.gif)
-9123_02_.gif)
-9123_03_.gif)
-9123_04_.gif)
감상문 세계화의 덫서평 / 세계화의 덫 우리에게 진정한 세계화란 무엇인가 한스
세계화의 덫 - 우리에게 진정한 세계화란 무엇인가 한스 페터 마르틴 하랄트 슈만 - 영림카디널 (1997) 세상은 점차 하나로 통합되어가고 있다. 이것은 미국 통화론자인 밀튼 프리드만의 경제理論에서 기인한다. IMF를 겪으면서 한국이라는 나라는 마치 세계화만이 우리가 가야할 길이며, 성공의 길이라고 믿는 듯 했다. 기업뿐만이 아닌 자본시장의 핫머니들까지도 국경이라는 것을 비웃으며 오늘도 전세계를 상대로 투기를 계속하고 있는 상태다. 미국의 회사였던 것이 어느새 본토에는 지휘부만 존재하는 회사로 자리잡았으며, 자본의 수익상태가 좋거나 노동자들의 인건비가 싼 나라들로 옮겨가면서 비용절감과 함께 엄청난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것은 歷史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영국의 세금과 정책에 반대하여 독립한 미국의 모습에서도 읽을 수 있는 자유를 근간으로 한 전형적인 미국적인 사고의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이념들이 우리에게는 IMF를 거치면서 나타난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김대중 정부의 `작지만 봉사하는 효율적인 정부`라는 캐치프레이즈에서 볼 수 있는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그 어려운 결합 - 한국판 신자유주의 - 이 과연 옳은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순서
설명
[感想文] 세계화의 덫(서평) / 세계화의 덫 우리에게 진정한 세계화란 무엇인가 한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세계화의 덫 - 우리에게 진정한 세계화란 무엇인가 한스 페터 마르틴 하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