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2 22:25
본문
Download : 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hwp
채플린은 한 신문기자에게서 디트로이트 공장에 다니는 어느 청년이 공장에 들어가 일하다가 마침내 신경쇠약에 걸리고 말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하였다.
순서
레포트 > 기타
모던 타임즈,감상문,Modern Times
매일 똑같은 일상을 반복하는 노동자 찰리는 컨베어 벨트 공장에서 나사 조이는 일을 하고 있다.
다. 오히려 우리는 이 영화에서 현대 기계 문명의 폐해에 대한 채플린의 예견적이면서도 비판적인 시선에 직면하게 된다. 점점 기계처럼 움직이는 사람들 속에서 찰리도 기계화되어 나사처럼 생긴 모든 것들을 조여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빠져 버렸다. 이 영화가 만들어진 1930년대는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대 사회혁신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쏟아져 나오는 기계들의 나사못이 찰리에게 잠시의 짬도 주지 않는다. 그 후 그는 <모던 타임즈>에 관한 회견에서 `근대화된 기계문명을 반대하는 게 아니라 기계에 의한 인간의 노예화를 반대한다. 그렇게 되면 지적 향상과 생활의 즐거움을 증진시킬 수 있지 않은가` 이 말은 기계를 싫어하여 항상 고풍스러운 마차를 타고 다닌 마하트마 간디와의 회견 때 채플린이 한 말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그를 단지 예찬론자로 머물게 하지 않는다. 그 예가 방랑자가 기계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고 결국 기계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마는 지경에 이르는 장면이다. 강제로 정신병원에 보내어 졌다가 퇴원했
설명
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
-6350_01_.gif)
-6350_02_.gif)
-6350_03_.gif)
Download : 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hwp( 94 )
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
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
모던 타임즈(Modern Times.1936)
`기계라는 것이 사회와 인간을 위해 사용된다면, 오히려 인간을 노예 상태에서 해방시키고 노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채플린이 이 영화를 만들게 된 직접적인 배경 역시 그와 관련지어 진다. 영화 도입부에 돼지 무리와 공장 문을 들어서는 노동자의 무리의 교차와 이후 자기가 일할 기계를 찾아가는 장면은 이 영화가 기계화 시대에 대한 비판을 가할 것을 암시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근대 기계기술이 제대로 사용될 때 그 효용가치에 대하여는 오히려 위에 인용된 문구처럼, 근대 기술을 예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