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 理論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理論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理論과 스키너理論의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2 07:34
본문
Download : 반두라 이론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이론과 스키너이론의 차이점).hwp
순서
반두라 理論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理論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理論과 스키너理論의 차이점)
레포트/사범교육
반두라 이론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이론과 스키너이론의 차이점) , 반두라 이론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이론과 스키너이론의 차이점)사범교육레포트 , 반두라 이론 평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이론과 스키너이론 차이점
설명
반두라,이론,평,반두라,사회학습이론,공헌과,비판점,반두라이론과,스키너이론,차이점,사범교육,레포트
반두라 理論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理論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理論과 스키너理論의 차이점)
반두라 theory 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 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theory 과 스키너theory 의 차이점)
I. 반두라 theory 의 공헌
반두라(Bandura)의 theory 은 모방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자각을 증진시켰으며, 사회적 environment이 인간에게 얼마나 많은 effect(영향) 을 미치는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인식하도록 하였다. 정상적인 발달과 비정상적인 발달에 대한 구별이란 가치판단에 입각해 있으며 theory 적인 중요성이 적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복잡한 사회적 요소들을 무시하는 것은 theory 가들로 하여금 참신한 사회적 reaction 들이 학습되는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스키너(Skinner)와는 달리 observe학습에서 행동에 effect(영향) 을 줄 수 있는 자기강화와 자기효능감 등과 같은 인지적 요소의 중요성을 받아들였으며 행동주의 학습theory 을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 놓았다. 행동주의 theory 에서는 바람직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행동이란 정신병리의 증상이라기보다는 학습된 행동적 대처기제라고 본다. 또 반두라는 정신역동적인 원리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 이의를 제기했는데 그 원리들 중 어느 것도 정밀한 과학적인 分析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체계적인 행동수정 프로그램(program]) 이 최상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는 초기 학습theory 들이 대부분 동물實驗(실험)이나 한 사람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說明(설명) 하는 원리가 다소 제한되어 있다는 이유로 이의를 제기했다.
II. 스키너 theory 과의 차이점
반두라는 스키너가 조작적 조건화에 입각하여 결과는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행동은 강화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처벌될 수 있다는 theory 에 동의하지만 단지 자극-reaction 이라는 유형을 넘어서서 복합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욱이 그는 정상적인 발달과 이상적인 발달을 구분하려는 심리학의 강조점에 대하여 관심을 가졌다. 이리한…(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반두라 이론의 평가(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공헌과 비판점, 반두라이론과 스키너이론의 차이점).hwp( 66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다. 즉, 인간의 행동은 사람과 environment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며, 또한 그 environment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의해서 행동이 형성된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