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theory(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9 23:47
본문
Download : 교수-학습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hwp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교수-학습theory(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
Ⅰ. Skinner의 강화theory
1. Skinner의 강화theory 의 槪念
Skinner에 의하면 과학이란 environment(환경) 속에서 자연적인 사태들 간의 법칙 관계를 규명해 내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skinner에 의하면 학습은 곧 행동이며 행동변화는 기본적으로 environment(환경) 조건들과 사태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아
2. 학습의 목적
-조직에서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학습의 궁극적 목적은 조직구성원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감소시키려는 데 있다아
- 인간행동의 요인
① 행동에 선행하는 environment(환경) 적 자극
② 그 environment(환경) 적 자극에 反應(반응)하는 행동
③ 행동에 결부되는 결과
3. 학습 강화요인
1) 긍정적 강화(보상부여)
- 자극에 의한 反應(반응)행동에 따라 제공되는 보상
- 그것의 제시가 행동이 다시 발생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자극
- 한 상황에 더해질 때 앞으로 그 행동을 다시 할 확률을 강화시키는 자극
- 애정, 칭찬, 보상, 승진, 긍정적 인定義(정의) 반복 → 바람직한 결과 유도
① 일차적 강화
- 과거 경험과 상관없이 선천적으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직접적으로 행동을 강화시키는 것.
- 음식, 애정, 작업, 유희
② 이차적 강화
- 학습과 경험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
- 칭찬, 급료인상…(To be continued )
설명
교수-학습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학습이 일어날 때는 反應(반응)의 비율이 증가하고 학습이 일어나지 않을 때는 反應(반응)의 비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행동과학도 과학의 한 분야이므로 environment(환경) 속에서 물리적 조건이나 사태와 행동 간에 있어서의 법칙 또는 기능적인 관련성을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 교수-학습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사범교육레포트 , 교수-학습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
다. 행동의 실험적 analysis(분석) 은 1)행동을 종속변수로 간주하고, 2)행동을 觀察(관찰) 할 수 있고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조건하에서 설명(說明)해나가는 것이다. 그런데 행동은 일시적이고 유동적이며 변화하기 때문에 연구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행동변화를 가장 정확하게 analysis(분석) 하기 위해서는 세밀한 통제 조건하에서 觀察(관찰) 하는 실험적 analysis(분석) 이 필요하다.






Download : 교수-학습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hwp( 36 )
교수-학습이론과,전공과목에의,적용,사범교육,레포트
교수-학습theory(이론)과 전공과목에의 적용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skinner의 관점에서 학습(learning)이란 곧 행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