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2 23:30
본문
Download : 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pptx






교육,계층,이동,수단인,계층,고착화,요인인가,경영경제,레포트
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 , 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경영경제레포트 , 교육 계층 이동 수단인 계층 고착화 요인인가
Download : 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pptx( 85 )
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
교육-계층 이동의 수단인가,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
_SLIDE_1_
교육- 계층 이동의 수단인가,
계층 고착화의 요인인가
_SLIDE_2_
01.서론
02.지위의 세습과 교육
03.理論적 토대
04.교육의 效果와 시대상황
05.계층 간 교육 격차의 Cause
06.conclusion
목차
1
교육은 사회이동의 수단인가
계층 고착화를 유발하고 있는 교육
계층 고착화를 유발한다는 理論적 근거
교육이 과거만큼 效果를 보이지 못하는 이유
계층 간 교육의 격차의 Cause 은 무엇인가
진정한 의미의 교육 기회 평등은
_SLIDE_3_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교육에 대한 신화
- 1980, 90년대
교육에 대한 회의론
2
_SLIDE_4_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습과 교육1
출생집단별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양상
(1943~ 1955년생/56~65년생/66~75년생)
1. 전체 집단에서 출신배경이 교육에 상당한 effect(영향) 력
2.교육을 통한 상향이동 부분적으로 가능(직업구조의 급속한 alteration(변화) 양상)
3. 최근 출생집단에서 양극단 직업지위의 세습 경향이 보이고 있음
4. 직업지위나 획득에 대한 교육의 effect(영향) 력 감소
5. 최근 출생집단에서 출신배경에 따른 소득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
2
_SLIDE_5_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습과 교육2
부(父)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의 학력, 자녀의 소득
SES : 세 가지 변수로 추정된 부의 사회경제적 지위
Cf ) 교육의 순效果 = B - AB
아버지의
학력
아버지의
경제수준
아버지의
직업
SES
자녀의 소득
자녀의 학력
A
B
C
2
_SLIDE_6_
연령별 경로 效果
연령대
(2006기준)
직접效果(C)
간접效果(AB)
SES 총效果
교육 순效果
전체
0.059
0.170
0.230
0.172
50대
0.061
0.156
0.218
0.177(0.005)
-
40대
0.013
0.187
0.200
0.204
+
2~30대
0.120
0.130 …(省略)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