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report - 槪念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7:50
본문
Download : 잡가 레포트 - 개념 국악계 문학계.hwp
1718세기에 발생하여 1920년대까지 성행했던 시가의 한 갈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 잡가라는 용어는 송만재의 《관우희 觀優戱》나 유만공의 《세시풍요 歲時風謠》등 조선 중기의 문헌에서 쓰이기 시작했으며, 《동가선 東歌選》․《남훈태평가 南薰太平歌》등의 가집에 실린 곡명에서 구체화 되었다. 12가사․12잡가․경서남도잡가․휘모리잡가․단가로 명명되어오던 악곡의 명칭을 포괄하는 관념으로, 문학적으로 볼 때는 시조․가사․민요 등과 구별되는 시가류를 지칭한다.
2. 국악계․문학계에서의 잡가
.
Ⅱ. 잡가의 관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 잡가의 관념에 대한 논의
잡가 레포트 - 개념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잡가 report - 槪念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잡가 리포트 - 관념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잡가 report - 槪念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1) 국악계에서의 잡가
순서
잡가 레포트 - 개념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잡가 레포트 - 개념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잡가 레포트 - 개념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잡가 report - 槪念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설명
첫째, 잡가라는 명칭은 12잡가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잡가는 일정한 통일적 원리에 바탕 한 음악성이나 문화적 구조를 구유하고 있는 자족적인 양식이라기보다 여러 가지 다양한 기존의 음악 및 문학양식을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진, 다양성과 불균일성을 그 특색으로 하는 예술양식인 것이다. 그 발생적 근원의 면에서나 형식적인 면에서 그리고 언어 표현에서도 잡연하기가 이를 데 없다.
다. 이러한 복합성 때문에 잡가는 한 시대에 걸쳐 상당히 성행한 노래이면서도 관념과 장르적 특질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연구자들 간에도 의견이 다양하다. 이러한 노래들은 내용상으로 보아서는 동일한 연관을 찾기 어렵지만 일정한 음악과 연결되어짐으로써 하나의 양식으로 확립되어졌다.
잡가 report - 槪念 국악계 문학계의 잡가
.
잡가는 조선 후기에 하층민에 속하던 직업적 소리패들이 놀이공간에서 부르던 유락적이고 유행가적인노래이다. 바로 이들에 의해 변용되어 일정한 양식을 띠게 된 노래들을 일반적으로 잡가라고 칭하는 것이다. 현존하는 잡가집에는 시조를 비롯하여 민요․가사․판소리․창가 등과 국문학의 어떤 장르에도 소속되지 않는 시가들이 실려 있다. 서민문화가 활성 되어 가던 일반적인 추세 속에서 하층신분에 속하는 직업적 소리꾼들이 활발하게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이들은 민속음악의 가락을 새롭게 變化시키고 가다듬으면서 민요, 시조, 가사, 판소리 등의 기존 문학양식의 노랫말을 그 가락 속에 받아들여 일정하게 변용하여 나갔다. 장사훈 교수는 『국악개설』에서 12잡가를 다음과 같이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
Download : 잡가 레포트 - 개념 국악계 문학계.hwp( 38 )
우리시가사에 등장한 장르 가운데 아마도 잡가만큼 혼란스러워 보이는 시가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