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현관문석성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6 04:45
본문
Download : 대현관문석성고.hwp
즉 성벽의 종결점을 우회하여 적이 침투하기는 어렵다고 본 것이다(사진 1…(투비컨티뉴드 )
관문성의 입지와 현황, 발견의 의의, 나아가 이러한 내용이 고대 정치체의 영역 및 교통 등에 대한 연구를 위해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
순서
대현관문석성고
,기타,레포트
Download : 대현관문석성고.hwp( 59 )






레포트/기타
대현관문석성고
1. 연 혁
2. 입지環境
3. 대현관문성과 아라파사산성
4. 대현관문성 現況
5. 대현관문성 발견의 의의
1) 영역 고찰
2) 교통로 고찰
6. 앞으로의 과제(problem)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함주지』가 편찬될 때, 이미 파산과 여항산은 별개의 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용은 이 책에 실린 「함주군지도」에 잘 묘사되어 있다(지도 2 참조). 또한 같은 책의 산천조에 실린 산의 紹介순서가 진산인 여항산에서 그 동쪽으로 나아가며 파산, 생동산, 광려산으로 이어지고 있어서 파산이 여항산일 수 없고 파산은 그 서쪽에 비정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아
4. 대현관문성 現況
이 성은 안부를 중심으로 한 그 양측의 능선을 따라 양익형으로 배치되어 있다아 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릉의 경사가 완만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축조하고 배후구릉으로 오르면서 고도 및 경사가 급해지는 곳은 총암들을 성벽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테뫼식이나 포곡식 산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타원이나 원으로 귀결되지 않고 일자로 펼쳐진 양익형 배치를 보인다.
설명
다. 성벽의 종결은 양측 구릉의 사면에서 경사변환점이 구해지는 곳까지 한정하여 구축하였다.대현관문석성고 , 대현관문석성고기타레포트 ,
관문성의 입지와 present condition, 발견의 의의, 나아가 이러한 내용이 고대 정치체의 영역 및 교통 등에 대한 연구를 위해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인지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