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4 05:31
본문
Download :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hwp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
순서
사회문화,한국의,인디뮤직,인문사회,레포트
한국의 인디뮤직
Ⅰ. 인디뮤직에 대한 定義(정의)
인디뮤직은 `Independent Music`의 약자로서 `독립 음악`이란 뜻이고, 이때의 `독립`이란 상업적인 거대 제작(매니지먼트) 자본과 유통 시스템으로부터의 독립을 말한다. 보통 매체에서는 밴드이면서 구성원이 20대들이고, 클럽에서 연주하면서 펑크, 하드코어, 모던록, 랩메틀 계열이면 인디뮤지션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적절하지 않은 분류 定義(정의) 이다.
![[사회문화]%20한국의%20인디뮤직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AC%B8%ED%99%94%5D%20%ED%95%9C%EA%B5%AD%EC%9D%98%20%EC%9D%B8%EB%94%94%EB%AE%A4%EC%A7%81_hwp_01.gif)
![[사회문화]%20한국의%20인디뮤직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AC%B8%ED%99%94%5D%20%ED%95%9C%EA%B5%AD%EC%9D%98%20%EC%9D%B8%EB%94%94%EB%AE%A4%EC%A7%81_hwp_02.gif)
![[사회문화]%20한국의%20인디뮤직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AC%B8%ED%99%94%5D%20%ED%95%9C%EA%B5%AD%EC%9D%98%20%EC%9D%B8%EB%94%94%EB%AE%A4%EC%A7%81_hwp_03.gif)
![[사회문화]%20한국의%20인디뮤직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AC%B8%ED%99%94%5D%20%ED%95%9C%EA%B5%AD%EC%9D%98%20%EC%9D%B8%EB%94%94%EB%AE%A4%EC%A7%81_hwp_04.gif)
![[사회문화]%20한국의%20인디뮤직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AC%B8%ED%99%94%5D%20%ED%95%9C%EA%B5%AD%EC%9D%98%20%EC%9D%B8%EB%94%94%EB%AE%A4%EC%A7%81_hwp_05.gif)
![[사회문화]%20한국의%20인디뮤직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AC%B8%ED%99%94%5D%20%ED%95%9C%EA%B5%AD%EC%9D%98%20%EC%9D%B8%EB%94%94%EB%AE%A4%EC%A7%81_hwp_06.gif)
다. 공중파TV의 음악프로그램(program]) 에서 볼 수 있듯…(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음반시장에서 존재하는 형태로 인디뮤직을 定義(정의)하면 `인디레이블`에서 발매된 음반에 수록된 음악을 가리킨다. 즉, 당장의 손익을 따져서 이른바 `팔리는 음악`만 기획/제작할 뿐 그 이외에는 안중에도 없는 상태이다. 그러니 인디뮤직은 매체에서조차 헷갈려하며 얘기하는 특정 `장르`의 定義(정의) 이 아니라는 얘기이다. 여기서 독립적인 자본이란 뮤지션 스스로가 음반제작비를 대는 경우와 주류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거부하는 제작자가 자본을 대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런데 왜 여기서 `독립적인 자본`에 의한 음반 제작을 인디뮤직의 요건으로 보냐하면, 그래야만 뮤지션이 생산해내는 음악의 내용과 함께 `장르와 스타일`이 획일화되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보통 주류 음반 제작자들은 음반 발표 후 3개월 이내에 모든 비용을 환수하고 수익을 창출하려고 하는 철저한 `비지니스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아 이는 일반 기업들처럼 상품을 기획하여 제작한 후 marketing 을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과 하나도 다르지 않고, 여기에는 예술로서의 음악을 창작하는 방식이 끼어들 여지가 전혀 없다. ,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
Download :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hwp( 14 )
[사회문화] 한국의 인디뮤직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그러니 이런 제작 環境(환경)에서는 `팔리는 음악`에 해당되지 않은 음악과 뮤지션들은 설자리가 없어진다. 즉, 인디뮤직은 `독립적인 자본`으로 형성된 인디레이블(음반사)과 인디음반들이 유통 가능한 `독립적인 유통망(또는 대체적인 유통망)`이 있는 상태에서 존재 가능한 `음악 생산/유통 방식`을 말한다. 한마디로 `상업적인 주류 음악시스템으로부터의 독립`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