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實驗 결과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2 21:37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실험 결과 보고서.hwp
③ 지름 3㎜정도에서 부스러진다면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measurement)하고, 그 값을 소성한계로 본다.
④ 부스러져 국수모양이 되지 않을 때 부슬부슬한 흙을 모아 함수비를 측정(measurement)하고...
소성한계 -토질test(실험) 결과 보고서
1. 시험 개요
- 시험의 목적
⇒ 흙의 컨시스턴시 중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함임.
- 시험에서 결정하는 값의 工學적 의미
⇒ 소성지수와 액성한계는 상대적 관계가 있고, 이 관계는 흙의 분류에 이용되며, 흙의 역학적 성질 (투수성, 압축성, 강도)등을 추정하기 위한 예비적인 수단이다.
⑤ 흙을 소성판 위에서 시험할 때 손바닥 온도를 감안하여 약간 습윤도를 크게 한다.
③ 성형된 시료를 손바닥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체온으로 시료의 표면이 갈라진 논바닥처럼 될 때까 지 건조 시킨다.
⑤ 측정(measurement)된 시료를 건조로에 넣어 105°±5℃로 자연건조 시킨다.
② 적당량의 시료를 간유리 위에서 지름 3㎜정도의 볼펜심 모양으로 성형한다.[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實驗 결과 보고서
소성한계 -토질test(실험) 결과 보고서
1. 시험 개요
- 시험의 목적
⇒ 흙의 컨시스턴시 중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함임.
- 시험에서 결정하는 값의 工學적 의미
⇒ 소성지수와 액성한계는 상대적 관계가 있고, 이 관계는 흙의 분류에 이용되며, 흙의 역학적 성질 (투수성, 압축성, 강도)등을 추정하기 위한 예비적인 수단이다.
2. 시험 방법 및 절차
- 일반적인 시험 절차
① № 40 체 통과시료 약 15㎏f을 유리판 위에 펼쳐, 분무기로 증류수를 살수하면서 반죽한다.
2. 시험 방법 및 절차
- 일반적인 시험 절차
① № 40 체 통과시료 약 15㎏f을 유리판 위에 펼쳐, 분무기로 증류수를 살수하면서 반죽한다.
② 잘 만들어진 흙덩어리를 유리(간유리) 위에 놓고, 1분에 80~90회 속도로 손바닥으로 밀어 균일하 게 3㎜정도 국수모양으로 만들고, 그 때의 흙이 부서지지 않으면 다시 반죽하여 함수비를 줄여가면 서 위 과정을 반복한다.
④ 건조된 시료를 3개의 캔에 두개씩 넣고 무게를 측정(measurement)한다.
⑥ 접촉 부위를 평량하여 노건조 시킨다.
- 본 시험결과를 얻기까지의 시험 절차
① test(실험) 실 사정상 미리 준비한 점토에 수돗물을 이용하여 반죽한다.
⑦ 측정(measurement)값을 정리(arrangement)하고, 계산한다.
⑥ 자연 건조된 시료의 무게를 측정(measurement)한다.
- 본시험에서 필요한 시험 기구요약
① 유리판
② 스페출러(주걱)
③ 함수량 측정(measurement)기구
④ 분무기(증류수)
⑤ 면 헝겊
⑥ 직경 3㎜의 봉
⑦ 시료용…(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실험 결과 보고서.hwp( 30 )
![[자연과학]%20소성한계%20-토질실험%20결과%20보고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6%8C%EC%84%B1%ED%95%9C%EA%B3%84%20-%ED%86%A0%EC%A7%88%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_hwp_01.gif)
![[자연과학]%20소성한계%20-토질실험%20결과%20보고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6%8C%EC%84%B1%ED%95%9C%EA%B3%84%20-%ED%86%A0%EC%A7%88%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_hwp_02.gif)
![[자연과학]%20소성한계%20-토질실험%20결과%20보고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6%8C%EC%84%B1%ED%95%9C%EA%B3%84%20-%ED%86%A0%EC%A7%88%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_hwp_03.gif)
![[자연과학]%20소성한계%20-토질실험%20결과%20보고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86%8C%EC%84%B1%ED%95%9C%EA%B3%84%20-%ED%86%A0%EC%A7%88%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_hwp_04.gif)
설명
[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실험 결과 보고서 , [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실험 결과 보고서기타실험결과 , 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실험
순서
실험결과/기타
자연과학,소성한계,토질실험,기타,실험결과
[자연과학] 소성한계 -토질實驗 결과 보고서
다.
③ 지름 3㎜정도에서 부스러진다면 이때의 함수비를 측정(measurement)하고, 그 값을 소성한계로 본다.
② 잘 만들어진 흙덩어리를 유리(간유리) 위에 놓고, 1분에 80~90회 속도로 손바닥으로 밀어 균일하 게 3㎜정도 국수모양으로 만들고, 그 때의 흙이 부서지지 않으면 다시 반죽하여 함수비를 줄여가면 서 위 과정을 반복한다.
④ 부스러져 국수모양이 되지 않을 때 부슬부슬한 흙을 모아 함수비를 측정(measurement)하고 이를 소성한계로 한다.
⑦ 측정(measurement)값을 계산한다.